안녕하세요

최상위권을 향해 달려가는

학생들이 다니는 국어의 키입니다!

오늘은 <청산은 내뜻이오>-황진이 작품을

준비했습니다!

12. 「청산은 내 뜻이오」 황진이

 

한 문장 「청산은 내 뜻이오」 : 변함없는 화자의 사랑과 지조를 청산에, 변하는 임의 정을 녹수에 빗대어 표현한 황진이의 대표적 평시조

 

① 청산과 녹수의 대비

청산: 불변하는 화자의 사랑과 의지를 상징.

녹수: 변화하는 임의 마음을 상징하며 유동적 존재로 표현.

 

② 화자의 사랑과 지조

청산처럼 변하지 않는 화자의 사랑을 강조하며, 끝까지 지조를 지킬 것을 다짐.

종장에서 임이 화자를 잊지 않기를 바라는 간절한 소망을 드러냄.

 

③ 청산과 녹수를 대조적으로 묘사하여 화자의 내면과 임의 마음을 형상화.

자연물의 속성을 통해 변함과 변치 않음을 감각적으로 전달.

 

 

 

 
 
 
 
 
Previous imageNext image
 

 

「청산은 내 뜻이오」 모듈화

 

① 주제

임을 향한 변함없는 사랑과 지조.

 

② 특징

대조적 구성으로 화자와 임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전달.

청산과 녹수를 통해 상징적 의미를 강화.

 

③ 화자의 사랑과 지조를 청산에, 변하는 임의 정을 녹수에 빗대어 표현

 

대조법: 청산(불변)과 녹수(가변)를 대비하여 임과 화자의 심정을 표현.

상징법: 자연물로 사랑의 속성을 은유적으로 표현.

설의법: 화자의 지조와 절개를 강조

 

⑤ ‘녹수(임)’가 흘러가도 ‘청산(나)’은 변하지 않을 것과 임이 변하지 않았음을 소망

 

 

 

<청산은 내뜻이오>는 변함없는 화자의 사랑과 지조를 청산에, 변하는 임의 정을 녹수에 빗대어 표현한 황진이의 대표적 평시조입니다

① 청산과 녹수의 대비

② 화자의 사랑과 지조

③ 청산과 녹수를 대조적으로 묘사하여 화자의 내면과 임의 마음을 형상화

다른것들도 정말 중요하지만

작품을 가장 먼저 간단하게 설명할 때 저 3가지가 가장

중요해요!

선생님들이 찝어주는 3가지는 항상 기억하고 넘어갑시다

12.pdf
1.24MB

올려두는 PDF파일은 모두 모바일 버전입니다!

12. 청산은 내 뜻이오 황진이 2.hwp
0.02MB

 

 

청산은 내 뜻이오(황진이)

 

 

푸른 산은 내 뜻이오, 푸른 물은 임의 마음이로다

푸른 물 흘러간들 푸른 산이 변할쏜가

푸른 물도 푸른 산을 못 잊어 울며 흘러가는가

 

 

靑山은내ᄯᅳᆺ이오綠水ᄂᆞᆫ님의情이

綠水흘너간들 靑山이냐 變ᄒᆞᆯ손가

綠水도靑山을못니져우러예어가ᄂᆞᆫ고

 

 

 

1. 한 문장 청산은 내 뜻이오

‘청산은 내 뜻이오’는 불변하는 청산과 가변하는 녹수를 대조하여 화자의 일편단심과 임에 대한 변함없는 사랑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황진이의 시조이다.

 

2. 주요 핵심 내용 (3가지)

청산과 녹수의 상징적 의미

청산(靑山): 화자의 변치 않는 사랑과 의지를 상징한다.

녹수(綠水): 임의 마음을 상징하며, 시냇물처럼 변하고 흘러감을 나타낸다.

 

불변과 가변의 대조

청산(나)은 불변하며 흔들리지 않는 마음을 의미하지만, 녹수(임)는 변덕스러운 마음을 상징한다.

이를 통해 화자는 자신의 사랑이 일편단심임을 강조한다.

 

임에 대한 화자의 믿음과 소망

녹수(임)가 흘러가도 청산(화자)의 마음은 변치 않음을 표현한다.

 

종장에서는 녹수도 청산을 잊지 못하고 울며 흐른다고 하여 임 역시 자신을 기억하고 사랑할 것이라는 믿음을 나타낸다.

 

 

3. 글 구성

(1) 내용 흐름과 시상 전개

초장

“청산은 내 뜻이오 녹수난 임의 정이”

화자는 청산과 녹수를 각각 자신과 임의 마음으로 비유하며, 변함없는 자신의 사랑을 강조한다.

 

중장

“녹수 흘너간들 청산이야 변할손가”

흐르는 녹수(임)가 변한다 해도 청산(화자)은 변하지 않을 것임을 표현한다.

 

종장

“녹수도 청산을 못니져 우러 예어 가난고”

녹수조차 청산을 잊지 못하고 울면서 흘러간다고 하여 임 역시 화자를 잊지 못할 것이라는 믿음을 드러낸다.

 

 

(2) 형식과 운율

형식: 평시조 (3장 구성)

운율: 3음보의 정형적 리듬으로 서정적이고 간결한 표현이 특징적이다.

 

 

4. 표현 기법

은유법

청산: 변치 않는 화자의 마음과 사랑.

녹수: 흐르고 변하는 임의 마음.

 

대조법

청산(불변)과 녹수(가변)의 대조를 통해 화자의 사랑과 임의 변덕스러움을 부각시킨다.

 

감정 이입

흐르는 녹수가 청산을 잊지 못하고 울면서 흐른다는 표현을 통해 화자의 감정을 자연물에 투사한다.

 

대구법

초장과 종장에서 ‘청산’과 ‘녹수’를 반복적으로 대비시켜 시적 긴장감을 높인다.

 

 

5. 주제와 정서

(1) 주제

임을 향한 변함없는 사랑과 일편단심의 의지.

 

(2) 정서

애절함: 임의 마음이 변할지라도 화자는 자신의 사랑이 영원함을 강조한다.

자신감: 녹수(임) 역시 결국은 청산(화자)을 잊지 못할 것이라는 믿음을 표현한다.

절제된 정서: 자연물을 통해 간접적으로 자신의 사랑을 고백한다.

 

 

6. 특징과 의의

기녀 시조의 감정 표현

기녀 시조는 솔직하고 섬세한 감정 표현이 특징적이다.

사대부 시조와 달리 인간적이고 현실적인 사랑의 정서를 표현한다.

 

대조를 통한 주제 강조

청산(불변)과 녹수(가변)의 대비를 통해 화자의 변치 않는 사랑을 강조한다.

 

 

 

은유적 자연물 활용

자연물(청산, 녹수)을 통해 화자의 내면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며, 절제된 언어로 애절한 사랑을 표현한다.

 

여성적 정서와 문학성

섬세하면서도 단호한 여성적 정서가 드러나며, 간결한 언어로 강한 울림을 준다.

 

 

7. 상징과 의미

청산(靑山)

변치 않는 사랑과 화자의 일편단심을 상징한다.

 

녹수(綠水)

끊임없이 흐르고 변화하는 임의 마음을 상징한다.

그러나 종장에서 화자는 녹수가 청산을 잊지 못한다고 하여 임에 대한 희망을 내비친다.

 

우러 예어 가난고(울며 흐르다)

녹수가 청산을 향한 그리움을 표현하며, 임도 결국 화자를 잊지 못할 것임을 암시한다.

 

 

8. 감상 포인트

청산과 녹수의 상징적 의미

불변하는 청산과 흐르는 녹수를 대조하여 화자의 마음과 임의 태도를 상징적으로 표현했다.

 

절제된 표현 속의 애절한 사랑

화려한 표현 없이도 간결하고 절제된 언어로 강렬한 사랑의 정서를 드러낸다.

 

기녀 문학의 독창성

기녀 시조는 사대부 시조와 달리 인간적인 사랑과 솔직한 감정을 표현한다.

 

변화와 불변의 철학적 사유

인간의 변덕스러운 정서와 변하지 않는 의지를 대비하여 인간 존재의 불안과 사랑의 가치를 사유하게 한다.

 

 

9. 시험 대비 포인트

작품의 핵심

갈래: 평시조

주제: 임을 향한 변함없는 사랑과 일편단심

특징: 은유법, 대조법, 대구법, 감정 이입

상징적 표현

청산: 변하지 않는 화자의 마음.

녹수: 변덕스러운 임의 마음과 흐르는 시간.

 

 

비교 작품

동짓달 기나긴 밤을(황진이): 임에 대한 애절한 사랑과 그리움을 표현한 작품.

묏버들 갈해 것거(홍랑): 자연물을 통해 이별의 정한과 사랑의 변치 않음을 드러낸 작품.

 

 

만능키 청산은 내 뜻이오

‘청산은 내 뜻이오’는 변하지 않는 청산과 흐르는 녹수를 대조하여 화자의 일편단심을 표현한 황진이의 대표 시조이다. 은유와 대조를 통해 애절한 사랑과 변하지 않는 의지를 간결하면서도 강렬하게 전달하며, 기녀 문학의 섬세하고 진솔한 감정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열심히 공부하는 학생들 모두 힘내서

더 열심히 나아갑시다!

화이팅 ㅎㅎ

다음은 <나모도 바히 돌도 업슨>로 찾아올게요~!


국어의키 국어논술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로8길 8-1 201호 리딩플러스 국어의 키

중등부 1008분 16만원 중등부 1134분 21만원 고등국어 1680분 36만원, 1134분 23만원 고등국어 2268분 46만원 고등국어 3402분 69만원, 2520분 54만원

#국어의키 #성동구국어 #성동국어 #행당국어 #성동구논술 #성동논술 #행당논술

#국어내신 #국어1등급 #고등내신 #고등국어내신 #성동고 #성동고국어 #성동고내신 #성동고기출 #성동고수시 #성동고정시 #고등국어 #기출분석 #국어학평 #국어모고 #입시국어

 

안녕하세요

최상위권을 향해 달려가는 학생들이

다니는 국어의 키입니다!

오늘은 <속미인곡>-정철

작품을 가져왔습니다!

11. 「속미인곡(續美人曲)」 정철

 

한 문장 「속미인곡(續美人曲)」 : 임금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두 여인의 대화 형식으로 전개하며, 자연 속 소재와 순우리말의 표현을 통해 연군의 정을 절절하게 형상화한 가사 문학의 백미

 

① 대화체 구성

갑녀와 을녀 두 화자가 등장하여 대화를 주고받으며 주제를 전개.

 

② 임을 향한 연군지정

갑녀는 을녀의 하소연을 유도하며 대화의 진행을 보조.

을녀는 임과의 이별로 인한 슬픔과 그리움을 토로하며 중심 화자로 기능.

 

구름, 안개: 임과의 사랑을 방해하는 장애물.

낙월(지는 달): 소극적 사랑

궂은비: 적극적으로 임에게 다가가고자 하는 화자의 간절함을 대변.

 

 

 
 
 
 
 
 
 
 
 
 
 
 
 
Previous imageNext image
 

 

 

「속미인곡(續美人曲)」 모듈화

 

① 주제

임금을 향한 그리움과 사랑의 정(연군지정).

 

② 특징

대화 형식을 통해 서정적 주제를 극적이고 생동감 있게 구현.

순우리말과 자연물의 상징을 활용한 세련된 표현.

 

③ 의의

조선 중기의 가사 문학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감정의 표현과 문학적 완성도가 뛰어남.

연군의 정을 여성 화자의 목소리로 표현하여 당대 유교적 가치를 문학적으로 형상화.

 

대구법: 구절을 대칭적으로 구성하여 운율을 형성.

상징법: 자연물을 활용해 임에 대한 사랑과 방해를 형상화.

대화체: 갑녀와 을녀의 대화로 주제와 감정의 전개를 극적으로 표현.

 

⑤ 정철의 연군지정을 두 여성 화자의 대화 형식으로 펼쳐 보이며, 순우리말의 표현력과 상징적 자연물을 활용하여 감정의 깊이를 극대화한 작품

 

 

 

<속미인곡>은 임금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두 여인의 대화 형식으로 전개하며, 자연 속 소재와 순우리말의 표현을 통해 연군의 정을 절절하게 형상화한 가사 입니다

① 대화체 구성 ② 임을 향한 연군지정

③ 구름, 안개: 임과의 사랑을 방해하는 장애물

중요한 3가지는 꼭 한번씩 보고

넘어갑시다!

10.pdf
1.22MB

속미인곡도 정말 자주 출제되는 작품 중 하나죠?

그럴수록 더 깊이, 더 자세하게 알고 넘어가야합니다!

지루하고 힘들더라도 반복해서 보고 또 봅시다!

11. 속미인곡 정철 2.hwp
0.02MB

속미인곡(續美人曲) 정철

 

뎨 가 뎌 각시 본 듯도 뎌이고.

텬샹(天上) 옥경(白玉京)을 엇디야 니별(離別)고,

 다 뎌 져믄 날의 눌을 보라 가시고.

 

어와 네여이고 내 셜 드러 보오.

내 얼굴 이 거동이 님 괴얌 즉가마

엇딘디 날 보시고 네로다 녀기실

나도 님을 미더 군디 전혀 업서

이야 교야 어러이 구돗디

반기시 비치 녜와 엇디 다신고.

누어 각고 니러 안자 혜여니

내 몸의 지은 죄 뫼티 혀시니

하히라 원망며 사이라 허믈랴.

셜워 플텨 혜니 조믈(造物)의 타시로다.

 

글란 각 마오.

 

친 일이 이셔이다.

님을 뫼셔 이셔 님의 일을 내 알거니

믈  얼굴이 편실 적 몃 날일고.

츈한고열(春寒苦熱)은 엇디야 디내시며

츄일동텬(秋日冬天)은 뉘라셔 뫼셧고.

죽조반(粥早飯) 죠셕(朝夕) 뫼 녜와 티 셰시가.

기나긴 밤의 은 엇디 자시고.

 

님다히 쇼식(消息)을 아므려나 아쟈 니

오도 거의로다. 일이나 사 올가.

내  둘  업다. 어드러로 가쟛 말고.

잡거니 밀거니 놉픈 뫼 올라가니

구롬은니와 안개 므일고.

산쳔(山川)이 어둡거니 일월(日月)을 엇디 보며

지쳑(咫尺)을 모거든 쳔리(千里) 라보랴.

하리 물의 가  길히나 보쟈 니

람이야 믈결이야 어둥졍 된뎌이고.

샤공은 어 가고 븬만 걸렷ᄂᆞᆫ고.

강텬(江天)의 혼쟈 셔셔 디  구버보니

님다히 쇼식(消息)이 더옥 아득뎌이고.

 

모쳠(茅簷)  자리의 밤듕만 도라오니

반벽쳥등(半壁靑燈)은 눌 위야 갓고.

오며 리며 헤며 바니니

져근덧 역진(力盡)야 픗을 잠간 드니

졍셩(精誠)이 지극야 의 님을 보니

옥(玉)  얼구리 반(半)이나마 늘거셰라.

의 머근 말 슬장 쟈 니

눈믈이 바라 나니 말인들 어이며

졍(情)을 못다 야 목이조차 몌여니

오뎐된 계셩(鷄聲)의 은 엇디 돗던고.

 

어와, 허(虛事)로다. 이 님이 어 간고.

결의 니러 안자 창(窓)을 열고 라보니

어엿븐 그림재 날 조 이로다.

하리 싀여디여 낙월(落月)이나 되야이셔

님 겨신 창(窓) 안 번드시 비최리라.

 

각시님 이야니와 구 비나 되쇼셔.

 

1. 한 문장 속미인곡

‘속미인곡’은 두 여인의 대화 형식을 통해 임(임금)을 향한 화자의 애절한 그리움과 충절을 노래한 정철의 연군 가사이다.

 

 

2. 주요 핵심 내용 (3가지)

대화 형식을 통한 정서 표현

화자인 ‘을녀’는 보조 화자인 ‘갑녀’와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임에 대한 애절한 사모의 정을 토로한다.

갑녀는 을녀의 심정을 공감하고 위로하며 대화를 매듭짓는 역할을 한다.

 

임에 대한 충절과 연군의 정

화자는 임과 이별한 슬픔을 노래하며, 임의 안부와 일상에 대한 걱정을 드러낸다.

죽어서라도 임 곁에 머물고 싶다는 간절한 소망이 표현된다.

 

자연물을 통한 정서 형상화

구름, 안개, 강물, 바람과 같은 자연물은 임과 화자 사이를 가로막는 장애물로 등장한다.

‘낙월(지는 달)’과 ‘궂은비’는 화자의 분신으로, 죽어서라도 임에게 닿고 싶은 소망을 상징한다.

 

 

3. 글 구성

(1) 내용 흐름과 시상 전개

서사 (시작): 임과의 이별

갑녀가 을녀에게 임을 떠나온 이유를 묻고, 을녀가 자신의 사연을 말하며 서두를 연다.

 

본사 (전개): 임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

을녀는 임의 안위를 걱정하며 산과 강을 방황한다.

임의 소식을 알고자 애타게 기다리다 꿈에서나마 임을 만나지만, 꿈에서 깬 뒤 현실의 슬픔을 토로한다.

 

결사 (마무리): 죽음으로서의 사랑 극복

화자는 죽어서라도 ‘낙월’이 되어 임의 창에 비추거나 ‘궂은비’가 되어 임에게 닿고 싶다고 소망한다.

 

 

 

 

(2) 형식과 운율

형식: 가사 문학, 대화체 (두 여인의 문답 형식)

운율: 3·4조 또는 4·4조의 정형적 리듬을 유지함.

 

 

4. 표현 기법

대화체 형식

갑녀와 을녀의 대화를 통해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작품에 생동감을 부여한다.

 

자연물의 상징적 표현

구름과 안개: 임과 화자 사이의 거리감을 상징.

낙월(지는 달): 죽어서라도 임에게 닿고자 하는 간절함을 상징.

궂은비: 화자의 눈물을 상징하며, 임에 대한 소망과 애절함을 드러낸다.

 

설의법

“하늘을 원망하며 사람을 탓할 수 있으랴”와 같은 표현을 통해 화자의 감정을 강조한다.

 

감각적 이미지

자연물(구름, 안개, 물결, 바람)을 활용해 시각적, 청각적 이미지를 형상화하고 정서를 극대화한다.

 

반복과 대조

꿈속에서 임을 만났지만 깨어난 후의 허탈함을 대비시켜 임과의 거리를 더욱 부각한다.

 

 

5. 주제와 정서

(1) 주제

임을 향한 애절한 그리움과 충절의 정.

 

(2) 정서

애절함: 임을 떠나온 슬픔과 그리움이 가득한 정서.

간절함: 죽어서라도 임의 곁에 머물고 싶어하는 화자의 소망.

고독감: 임과 멀어진 화자의 외로움과 방황.

 

 

6. 특징과 의의

대화체 형식의 활용

두 여인의 대화를 통해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문학적 긴장감을 높인다.

 

우리말의 아름다움

순우리말과 섬세한 비유를 통해 한국어의 아름다움과 가사 문학의 정수를 보여준다.

 

연군지사의 문학적 가치

임금을 향한 충절과 그리움을 여성 화자의 목소리를 빌어 표현하면서도 신하로서의 유교적 도덕성을 반영한다.

 

가사 문학의 발전

사미인곡과 함께 가사 문학의 극치를 이루며, 문학적 완성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7. 상징과 의미

구름과 안개

화자와 임을 가로막는 장애물로, 현실적 거리감을 상징한다.

 

낙월 (지는 달)

화자의 죽음을 암시하면서도 임에게 닿고자 하는 절박함과 애절한 사랑을 나타낸다.

 

궂은비

화자의 눈물을 상징하며, 적극적으로 임에게 마음을 전달하려는 의지를 표현한다.

꿈현실에서 이루지 못한 임과의 만남을 실현하는 공간이지만, 깨어난 후의 허탈함을 대비시켜 임에 대한 사랑을 극대화한다.

 

 

8. 감상 포인트

대화 형식의 문학적 효과

갑녀와 을녀의 대화를 통해 화자의 정서를 객관화하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점에 주목한다.

 

자연물의 상징적 의미

구름, 안개, 낙월, 궂은비 등 다양한 자연물을 통해 화자의 정서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점을 감상한다.

 

연군지정(戀君之情)의 강조

죽어서라도 임 곁에 머물고 싶다는 적극적인 연모의 태도에 주목한다.

 

순우리말의 아름다움

세련된 우리말 표현과 음성적 아름다움을 통해 작품의 정서를 더욱 풍부하게 느껴본다.

 

 

9. 시험 대비 포인트

작품의 핵심

갈래: 서정 가사

주제: 임에 대한 그리움과 충절

형식: 대화체 (문답 형식)

대화체와 등장인물

갑녀: 화자의 심정을 공감하고 위로하는 역할.

을녀: 화자로서 임에 대한 그리움을 토로하며 주제를 표출.

 

상징적 표현

‘구름과 안개’, ‘낙월’, ‘궂은비’의 의미를 파악하여 자연물이 가지는 정서적 효과를 이해한다.

 

비교 작품

사미인곡: 임을 향한 사랑을 독백 형식으로 표현한 작품.

정과정: 임에 대한 절절한 충절과 연군지정을 보여주는 고려 가요.

 

 

만능키 속미인곡

‘속미인곡’은 사미인곡의 후속작으로, 두 여인의 대화 형식을 통해 임금에 대한 애절한 사랑과 충절을 표현한 작품이다. 순우리말의 아름다움과 대화체의 구성, 자연물의 상징적 활용이 돋보이며, 가사 문학의 정수를 보여주는 걸작으로 평가된다.

선생님들이 항상 응원하고 있는거 알죠~~?ㅎㅎ

다들 화이팅!

다음은 <청산은 내뜻이오>-황진이

로 돌아올게요~


국어의키 국어논술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로8길 8-1 201호 리딩플러스 국어의 키

중등부 1008분 16만원 중등부 1134분 21만원 고등국어 1680분 36만원, 1134분 23만원 고등국어 2268분 46만원 고등국어 3402분 69만원, 2520분 54만원

#국어의키 #성동구국어 #성동국어 #행당국어 #성동구논술 #성동논술 #행당논술

#국어내신 #국어1등급 #고등내신 #고등국어내신 #성동고 #성동고국어 #성동고내신 #성동고기출 #성동고수시 #성동고정시 #고등국어 #기출분석 #국어학평 #국어모고 #입시국어

 

 

안녕하세요

학생들을 먼저 생각하는 국어의 키입니다~

날이 추운데 다들 공부하느라

정말 고생이 많아요 ㅠㅠ

항상 열심히 공부하는 우리 학생들을 위해서

또 새로운 자료를 가지고 왔답니다

오늘 가져온 자료는 <동짓달 기나긴 밤을>-

황진이입니다!

10. 「동짓달 기나긴 밤을」 황진이

 

한 문장 「청산별곡」 : 임을 기다리는 여인의 애틋한 그리움을 시간을 형상화하여 참신하고 섬세하게 표현한 황진이의 대표적 시조이다.

 

① 시간의 구체적 형상화

추상적 개념인 동짓달 긴 밤을 "허리"로 비유하여 베어내고, 이불 아래 서려 둔 뒤 펼치는 모습으로 형상화.

 

② 임을 향한 간절한 그리움

임과 함께할 밤을 연장하고 싶어 하는 소망과 기다림의 애틋함이 주된 정서.

 

③ 섬세한 여성적 감각

"서리서리," "구뷔구뷔"와 같은 의태어, 시간을 자르고, 말아 두었다가 펼친다는 상징적 이미지로 임에 대한 기다림의 정서를 구체화.

 

 

 
 
Previous imageNext image
 

 

「동짓달 기나긴 밤을」 모듈화

 

① 주제

임을 기다리는 여인의 간절한 사랑과 애틋한 그리움.

 

② 특징

추상적 개념(시간)을 구체적 사물로 형상화한 참신한 발상.

 

③ 의의

여성 작가의 시조로서 정서를 담은 섬세한 감각과 창의적 표현을 구현.

 

④ 추상적 개념을 구체화 – 시간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형상화하여 임을 기다리는 애틋한 여인의 마음을 생생히 전달

 

⑤ 우리말의 아름다움과 감각적 표현

 

<동짓달 기나긴 밤을>-황진이는

임을 기다리는 여인의 애틋한 그리움을 시간을 형상화하여 참신하고 섬세하게 표현한 황진이의 대표적 시조입니다

그림에서도 그리워하는 눈빛이 느껴지지않나요? ㅠㅠ

① 시간의 구체적 형상화 ② 임을 향한 간절한 그리움

③ 섬세한 여성적 감각

이 3가지는 필수로 알아갑시다~

 

10.pdf
1.22MB

모바일 버전으로 간편하게 보며 외워봐요~

10. 동짓달 기나긴 밤을 황진이 2.hwp
0.02MB

동짓달 기나긴 밤을 (황진이)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베어내어

봄바람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었다가

정든 임 오신 날 밤이거든 굽이굽이 펴리라

 

冬至ᄉᄃᆞᆯ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내여

春風 니불 아레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 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1. 한 문장 동짓달 기나긴 밤을

‘동짓달 기나긴 밤을’은 동짓달의 긴 밤을 베어내어 간직했다가 임이 오는 밤에 펼쳐 오래 함께하고자 하는 애틋한 사랑과 그리움을 표현한 황진이의 평시조이다.

 

 

2. 주요 핵심 내용 (3가지)

긴 밤을 통한 임에 대한 간절한 기다림

화자는 동짓달의 긴 밤을 베어 간직해 두었다가 사랑하는 임이 오는 밤에 길게 펼쳐 오래 함께하고 싶어 한다.

이는 임과 함께하는 시간의 소중함과 기다림의 간절함을 드러낸다.

 

시간의 시각적 형상화

추상적 개념인 시간을 ‘한 허리를 베어낸다’, ‘서리서리 넣었다가’, ‘굽이굽이 편다’라는 구체적 사물로 시각화하여 표현하였다.

 

여성적 정서와 섬세한 감각

화자는 자연스러운 우리말의 의태어(‘서리서리’, ‘구뷔구뷔’)를 활용하여 섬세하고 정감 어린 여인의 감정을 표현한다.

 

 

3. 글 구성

(1) 내용 흐름과 시상 전개

초장: 동짓달의 기나긴 밤을 베어내어

동짓달의 긴 밤을 ‘한 허리를 베어내어’라는 독창적 비유를 통해 시간이 너무 길게 느껴지는 고독한 마음을 표현한다.

 

중장: 봄바람 이불 아래 넣어 둠

긴 밤을 서리서리 넣어 따뜻한 봄 이불 아래 보관하겠다는 표현을 통해 기다림 속의 설렘과 기대를 나타낸다.

 

종장: 임이 오는 밤에 굽이굽이 펼쳐 냄

임이 오는 밤에 그 시간을 길게 펼쳐 함께하는 시간을 더디게 흐르게 하고 싶다는 간절함과 애틋함을 표현한다.

 

 

 

 

 

(2) 형식과 운율

형식: 평시조, 단시조 (3장 구조)

운율: 3음보의 정형적 운율과 리듬감 있는 의태어(서리서리, 구뷔구뷔)를 사용하여 생동감과 아름다움을 더함.

 

 

4. 표현 기법

은유와 비유법

시간을 ‘긴 밤의 허리’에 비유하고 베어낸다고 표현함으로써 임을 향한 기다림의 애틋함을 강조한다.

 

의태어 사용

‘서리서리’, ‘구뷔구뷔’와 같은 의태어를 사용해 부드럽고 정감 있는 여인의 마음을 효과적으로 표현한다.

 

추상적 개념의 구체화

‘밤’이라는 추상적 시간을 ‘베어낸다’, ‘이불에 넣어 둔다’, ‘펼친다’ 등 구체적 동작으로 시각화하였다.

 

대조법

임이 없는 긴 겨울밤과 임이 오는 날의 소중한 시간을 대비시켜 사랑의 간절함을 극대화한다.

 

 

5. 주제와 정서

(1) 주제

임을 기다리는 여인의 애절한 사랑과 간절한 그리움.

 

(2) 정서

애절함: 임을 기다리며 긴 밤을 외롭게 보내는 마음.

간절함: 임이 오기를 바라는 애틋한 기다림.

섬세함: 시간을 형상화하는 감각적이고 여성적인 표현이 돋보임.

 

 

6. 특징과 의의

시간의 형상화

추상적 개념인 시간을 구체적인 사물로 형상화한 기발한 발상이 돋보인다.

여성적 감성과 섬세한 표현

의태어를 사용한 부드럽고 섬세한 표현은 여성적 정서를 잘 드러낸다.

 

 

 

 

 

비유와 상징의 조화

밤의 허리를 베어낸다는 비유적 표현과 봄바람 이불 아래 보관하는 상징적 표현이 조화를 이룬다.

 

 

7. 상징과 의미

 

동짓달 긴긴 밤

화자의 외로움과 임을 기다리는 시간을 상징.

 

봄바람 이불

사랑하는 임과 함께 보내고 싶은 따뜻하고 행복한 시간의 상징.

 

서리서리, 구뷔구뷔

기다림과 설렘을 표현하는 섬세하고 감각적인 여인의 마음.

 

밤의 허리를 베어낸다

긴 시간을 줄여 간직하고, 임과 함께할 시간을 늘리고자 하는 소망의 표현.

 

 

8. 감상 포인트

시간의 형상화

시간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한 허리를 베어내어’의 독창적 비유에 주목한다.

 

우리말의 아름다움

의태어 ‘서리서리’와 ‘구뷔구뷔’를 통해 감각적이고 섬세한 언어 표현을 감상한다.

 

임에 대한 애틋한 그리움

임과 함께하는 시간을 더 길게 하고 싶은 절절한 그리움을 중심으로 작품을 이해한다.

 

솔직함

솔직하고 인간적 정서를 표현한 기녀 시조의 문학적 가치를 살펴본다.

 

 

9. 시험 대비 포인트

작품의 핵심

갈래: 평시조

주제: 임을 기다리는 애틋한 사랑과 그리움

특징: 시간의 형상화, 비유법, 의태어 사용

 

상징적 표현

‘밤의 허리’와 ‘봄바람 이불’의 상징적 의미를 파악한다.

 

 

 

비교 작품

묏버들 갈해 것거: 자연물을 통해 임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

가시리: 이별의 정한과 재회를 기약하는 여인의 애절한 감정

 

 

만능키 동짓달 기나긴 밤을

‘동짓달 기나긴 밤을’은 임을 기다리는 여인의 간절한 사랑과 그리움을 시간의 형상화를 통해 표현한 황진이의 대표적 시조이다. 의태어와 비유적 표현을 사용하여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살렸으며, 여성적 섬세함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기녀 시조 문학의 정수를 보여준다.

다음은 <속미인곡>으로 찾아올게요~!


국어의키 국어논술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로8길 8-1 201호 리딩플러스 국어의 키

중등부 1008분 16만원 중등부 1134분 21만원 고등국어 1680분 36만원, 1134분 23만원 고등국어 2268분 46만원 고등국어 3402분 69만원, 2520분 54만원

#국어의키 #성동구국어 #성동국어 #행당국어 #성동구논술 #성동논술 #행당논술

#국어내신 #국어1등급 #고등내신 #고등국어내신 #성동고 #성동고국어 #성동고내신 #성동고기출 #성동고수시 #성동고정시 #고등국어 #기출분석 #국어학평 #국어모고 #입시국어

 

안녕하세요

국어의 키입니다!

오늘 가져온 자료는 <청산별곡> 입니다!

8. 「청산별곡」

 

한 문장 「청산별곡」 : 청산과 바다를 이상향으로 삼아 현실의 고난을 벗어나려는 화자의 갈망과 삶의 애환을 상징적 언어와 감각적 표현으로 형상화한 고려 가요이다.

 

① 청산과 바다의 이상향

청산과 바다는 화자가 바라는 도피처이자 안식처로, 현실적 고난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이상향의 상징. 삶의 고난과 비애, 유랑민으로서의 고단한 삶, 현실의 고통

 

② 반복적 구조와 음악성

후렴구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를 통해 구조적 통일감과 음악적 리듬감 형성.

‘ㄹ’과 ‘ㅇ’ 음의 반복으로 애상적 정서와 낙천적 분위기의 조화를 이루어냄.

 

③ 현실 도피와 체념

청산과 바다를 동경하나 결국 현실의 문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술로 시름을 달램

 

 

 
 
 
 
 
 
 
Previous imageNext image
 

 

「청산별곡」 모듈화

 

① 주제

현실적 고난과 삶의 비애를 벗어나고자 하는 화자의 이상향 추구.

 

② 특징

감각적이고 상징적인 언어 사용으로 화자의 정서를 구체화.

후렴구와 음운을 통한 음악성 강조.

 

③ 의의

고려 가요로서 민중의 애환과 삶의 고통을 문학적으로 형상화.

이상향 추구를 통해 현실적 고난을 초월하려는 보편적 인간의 정서를 담음.

 

④ 문학적 기법

상징법: "청산"과 "바다"로 도피처와 이상향을 상징.

반복법: 후렴구와 구체적 이미지 반복으로 정서 강조.

대조법: 현실적 고난과 이상적 삶의 대비를 통해 비애와 갈망 표현.

 

⑤ 문학적 가치

민중적 언어와 비유를 통해 고려 시대의 사회적 배경과 감정을 반영.

감각적 언어와 완성도 높은 형식으로 문학적 아름다움 구현.

 

<청산별곡>은 청산과 바다를 이상향으로 삼아 현실의 고난을 벗어나려는 화자의 갈망과 삶의 애환을 상징적 언어와 감각적 표현으로 형상화한 고려 입니다

① 청산과 바다의 이상향 ② 반복적 구조와 음악성

③ 현실 도피와 체념

9.pdf
1.26MB

정말 정말 중요한 3가지입니다!!

청산별곡은 워낙 내신, 모의고사에 자주 출제되는 작품이므로 꼭 알아두면 좋아요

9. 청산별곡 2.hwp
0.02MB

청산별곡(靑山別曲)(작자 미상)

 

살어리 살어리랏다 靑山(쳥산)애 살어리랏다.

멀위랑 ᄃᆞ래랑 먹고 靑山애 살러리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이링공 뎌링공 ᄒᆞ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ᄯᅩ 엇디 오리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ᄅᆞ래 살어리랏다.

ᄂᆞᄆᆞ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ᄅᆞ래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사ᄉᆞ미 지ᇝ대에 올아셔 ᄒᆡ금(奚琴)을 혀거를 드로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다니 ᄇᆡ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조롱곳 누로기 ᄆᆡ와 잡ᄉᆞ와니 내 엇디 ᄒᆞ리잇고.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1. 한 문장 청산별곡

‘청산별곡’은 화자가 현실의 고난과 슬픔을 떠나 이상향인 청산과 바다를 동경하며 도피하고자 하는 소망과 체념을 담은 고려 가요이다.

 

2. 주요 핵심 내용 (3가지)

현실 도피적 이상향 동경

화자는 청산과 바다를 도피처로 삼아 머루, 다래, 나문재를 먹으며 살겠다고 소망한다.

삶의 고뇌와 비애

화자는 현실의 시름과 고통으로 울며, 아무도 찾아오지 않는 밤의 고독과 외로움을 토로한다.

상징적 이미지와 반복적 후렴구

‘새’, ‘돌’, ‘해금’ 등 다양한 상징적 이미지를 통해 화자의 심리를 표현하고, 후렴구를 반복하며 음악성을 강조한다.

 

3. 글 구성

(1) 내용 흐름과 시상 전개

청산을 동경하는 화자의 소망 (1연)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에 살어리랏다.”

청산에서 머루와 다래를 먹으며 현실을 떠나 살고자 한다는 화자의 소망이 나타난다.

 

현실의 고통과 슬픔 (2연)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새보다 더 큰 시름을 가진 자신이 눈물로 현실을 버텨내는 고통이 드러난다.

 

상실과 회한 (3연)

“잉무든 장글란 가지고 물아래 가던 새 본다.”

이끼 묻은 쟁기(또는 병기)와 물아래 가는 새는 상실의 아픔과 현실적 비애를 상징한다.

 

고독한 밤의 시름 (4연)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또 엇디 호리라.”

아무도 찾아오지 않는 밤에 느끼는 외로움과 고독이 나타난다.

 

운명에 대한 체념 (5연)

“미워할 이도 사랑할 이도 없이 맞아서 우니노라.”

돌에 맞아 울고 있는 화자는 운명과 삶에 대한 체념을 드러낸다.

 

바다로의 도피 희망 (6연)

“바라래 살어리랏다.”

바다를 또 다른 이상향으로 상정하고 나문재와 조개를 먹으며 살겠다는 소망을 표현한다.

 

 

 

환상과 기적의 기대 (7연)

“사슴이 짐대예 올라서 해금을 혀거를 드로라.”

비현실적이고 환상적인 장면을 통해 현실의 시름을 잊고자 한다.

 

체념적 결말 (8연)

“설진 강수를 비조라.”

결국 술을 통해 시름을 달래며 현실을 체념하는 모습이 그려진다.

 

(2) 형식과 운율

형식: 8연 4구로 이루어진 고려 가요

운율: 3 · 3 · 2조의 반복적 리듬과 ‘얄리얄리 얄라셩’의 후렴구로 음악적 효과를 극대화함.

 

 

4. 표현 기법

상징적 표현

‘청산’과 ‘바다’: 현실 도피처이자 이상향을 상징

‘새’: 화자의 고독과 슬픔을 비유

‘돌’: 운명적 고난과 체념을 의미

 

반복법과 후렴구

각 연마다 같은 후렴구(“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를 반복하여 노래의 리듬감과 정서를 강조한다.

청각적 심상

“우러라 우러라 새여”, “해금을 혀거를 드로라”와 같은 표현을 통해 청각적 이미지로 감정을 전달한다.

 

대조법

청산과 바다의 동경과 현실적 시름, 이상과 체념을 대비적으로 보여준다.

 

 

5. 주제와 정서

(1) 주제

현실의 고통과 삶의 비애 속에서 이상향을 동경하며 체념하는 화자의 슬픔.

 

(2) 정서

애상적 정서: 현실의 시름과 고독에서 오는 슬픔이 드러남.

현실 도피적 정서: 청산과 바다를 동경하며 고통에서 벗어나고자 함.

체념적 태도: 현실의 고통을 극복하기보다 술을 통해 달래려는 모습이 나타남.

 

 

 

6. 특징과 의의

고려 가요의 대표작

‘청산별곡’은 고려 시대 민중의 애환을 담아낸 대표적 고려 가요이다.

 

음악적 효과

후렴구와 반복적 운율을 통해 서정성과 음악성이 돋보인다.

 

상징과 비유의 사용

자연적 소재인 청산, 바다, 새, 돌 등을 상징적으로 활용하여 고도의 문학적 아름다움을 형성한다.

 

현실과 이상향의 대비

고달픈 현실과 도피처로서의 이상향을 대비시켜 삶의 비애를 극적으로 부각시킨다.

 

 

7. 상징과 의미

청산과 바다

현실의 고통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도피처이자 이상향.

새고독한 화자의 분신이자 현실의 시름을 대변하는 존재.

돌운명적 시련과 체념을 상징.

해금과 사슴

비현실적이면서도 기적을 바라는 화자의 심리를 상징적으로 나타냄.

 

8. 감상 포인트

상징적 소재

청산, 바다, 새, 돌 등의 상징적 의미를 파악하며 감상한다.

후렴구의 의미와 효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후렴구가 지닌 음악성과 정서적 울림에 주목한다.

현실과 이상향의 대비

현실의 시름과 고통, 청산과 바다로 상징된 이상향을 대비하며 작품의 정서를 이해한다.

체념과 도피의 심리

고난과 고독에 대한 화자의 체념과 이상에 대한 동경을 중심으로 작품을 해석한다.

 

9. 시험 대비 포인트

작품의 핵심

갈래: 고려 가요

주제: 현실의 고뇌와 이상향에 대한 동경

특징: 상징적 표현, 반복법, 후렴구 사용

주요 시어와 상징적 의미

청산: 이상향과 도피처

새: 시름을 대변하는 존재

돌: 운명적 시련과 체념

문학적 의의

음악성과 상징성을 결합한 고려 가요의 대표작으로, 민중의 애환과 서정을 아름답게 형상화하였다.

 

비교 작품

서경별곡: 고려 가요의 또 다른 대표작으로, 이별의 슬픔을 노래함.

강호사시가(맹사성): 자연을 이상향으로 노래하되 현실의 즐거움과 연결시킴.

 

 

만능키 청산별곡

‘청산별곡’은 고려 시대 민중의 삶의 애환을 담아낸 작품으로, 청산과 바다라는 이상향을 동경하며 현실의 시름을 달래는 화자의 정서를 그렸다. 반복적 후렴구와 상징적 표현을 통해 고뇌와 체념이 음악적으로 전달되며, 문학적 아름다움과 서정성을 갖춘 고려 가요의 걸작으로 평가된다.

정말 외울 것들이 많지만...

이건 필수적이기에 꼭 알아둬야해요!

다들 화이팅!

다음에는 <동짓달 기나긴 밤을>-황진이로

찾아올게요~


국어의키 국어논술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로8길 8-1 201호 리딩플러스 국어의 키

중등부 1008분 16만원 중등부 1134분 21만원 고등국어 1680분 36만원, 1134분 23만원 고등국어 2268분 46만원 고등국어 3402분 69만원, 2520분 54만원

#국어의키 #성동구국어 #성동국어 #행당국어 #성동구논술 #성동논술 #행당논술

#국어내신 #국어1등급 #고등내신 #고등국어내신 #성동고 #성동고국어 #성동고내신 #성동고기출 #성동고수시 #성동고정시 #고등국어 #기출분석 #국어학평 #국어모고 #입시국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