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최상위권을 향해 달려가는 학생들이
다니는 국어의 키입니다!
오늘은 <속미인곡>-정철
작품을 가져왔습니다!
11. 「속미인곡(續美人曲)」 정철
한 문장 「속미인곡(續美人曲)」 : 임금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두 여인의 대화 형식으로 전개하며, 자연 속 소재와 순우리말의 표현을 통해 연군의 정을 절절하게 형상화한 가사 문학의 백미
① 대화체 구성
갑녀와 을녀 두 화자가 등장하여 대화를 주고받으며 주제를 전개.
② 임을 향한 연군지정
갑녀는 을녀의 하소연을 유도하며 대화의 진행을 보조.
을녀는 임과의 이별로 인한 슬픔과 그리움을 토로하며 중심 화자로 기능.
③
구름, 안개: 임과의 사랑을 방해하는 장애물.
낙월(지는 달): 소극적 사랑
궂은비: 적극적으로 임에게 다가가고자 하는 화자의 간절함을 대변.
「속미인곡(續美人曲)」 모듈화
① 주제
임금을 향한 그리움과 사랑의 정(연군지정).
② 특징
대화 형식을 통해 서정적 주제를 극적이고 생동감 있게 구현.
순우리말과 자연물의 상징을 활용한 세련된 표현.
③ 의의
조선 중기의 가사 문학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감정의 표현과 문학적 완성도가 뛰어남.
연군의 정을 여성 화자의 목소리로 표현하여 당대 유교적 가치를 문학적으로 형상화.
④
대구법: 구절을 대칭적으로 구성하여 운율을 형성.
상징법: 자연물을 활용해 임에 대한 사랑과 방해를 형상화.
대화체: 갑녀와 을녀의 대화로 주제와 감정의 전개를 극적으로 표현.
⑤ 정철의 연군지정을 두 여성 화자의 대화 형식으로 펼쳐 보이며, 순우리말의 표현력과 상징적 자연물을 활용하여 감정의 깊이를 극대화한 작품
<속미인곡>은 임금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두 여인의 대화 형식으로 전개하며, 자연 속 소재와 순우리말의 표현을 통해 연군의 정을 절절하게 형상화한 가사 입니다
① 대화체 구성 ② 임을 향한 연군지정
③ 구름, 안개: 임과의 사랑을 방해하는 장애물
중요한 3가지는 꼭 한번씩 보고
넘어갑시다!
속미인곡도 정말 자주 출제되는 작품 중 하나죠?
그럴수록 더 깊이, 더 자세하게 알고 넘어가야합니다!
지루하고 힘들더라도 반복해서 보고 또 봅시다!
속미인곡(續美人曲) 정철
뎨 가 뎌 각시 본 듯도 뎌이고.
텬샹(天上) 옥경(白玉京)을 엇디야 니별(離別)고,
다 뎌 져믄 날의 눌을 보라 가시고.
어와 네여이고 내 셜 드러 보오.
내 얼굴 이 거동이 님 괴얌 즉가마
엇딘디 날 보시고 네로다 녀기실
나도 님을 미더 군디 전혀 업서
이야 교야 어러이 구돗디
반기시 비치 녜와 엇디 다신고.
누어 각고 니러 안자 혜여니
내 몸의 지은 죄 뫼티 혀시니
하히라 원망며 사이라 허믈랴.
셜워 플텨 혜니 조믈(造物)의 타시로다.
글란 각 마오.
친 일이 이셔이다.
님을 뫼셔 이셔 님의 일을 내 알거니
믈 얼굴이 편실 적 몃 날일고.
츈한고열(春寒苦熱)은 엇디야 디내시며
츄일동텬(秋日冬天)은 뉘라셔 뫼셧고.
죽조반(粥早飯) 죠셕(朝夕) 뫼 녜와 티 셰시가.
기나긴 밤의 은 엇디 자시고.
님다히 쇼식(消息)을 아므려나 아쟈 니
오도 거의로다. 일이나 사 올가.
내 둘 업다. 어드러로 가쟛 말고.
잡거니 밀거니 놉픈 뫼 올라가니
구롬은니와 안개 므일고.
산쳔(山川)이 어둡거니 일월(日月)을 엇디 보며
지쳑(咫尺)을 모거든 쳔리(千里) 라보랴.
하리 물의 가 길히나 보쟈 니
람이야 믈결이야 어둥졍 된뎌이고.
샤공은 어 가고 븬만 걸렷ᄂᆞᆫ고.
강텬(江天)의 혼쟈 셔셔 디 구버보니
님다히 쇼식(消息)이 더옥 아득뎌이고.
모쳠(茅簷) 자리의 밤듕만 도라오니
반벽쳥등(半壁靑燈)은 눌 위야 갓고.
오며 리며 헤며 바니니
져근덧 역진(力盡)야 픗을 잠간 드니
졍셩(精誠)이 지극야 의 님을 보니
옥(玉) 얼구리 반(半)이나마 늘거셰라.
의 머근 말 슬장 쟈 니
눈믈이 바라 나니 말인들 어이며
졍(情)을 못다 야 목이조차 몌여니
오뎐된 계셩(鷄聲)의 은 엇디 돗던고.
어와, 허(虛事)로다. 이 님이 어 간고.
결의 니러 안자 창(窓)을 열고 라보니
어엿븐 그림재 날 조 이로다.
하리 싀여디여 낙월(落月)이나 되야이셔
님 겨신 창(窓) 안 번드시 비최리라.
각시님 이야니와 구 비나 되쇼셔.
1. 한 문장 속미인곡
‘속미인곡’은 두 여인의 대화 형식을 통해 임(임금)을 향한 화자의 애절한 그리움과 충절을 노래한 정철의 연군 가사이다.
2. 주요 핵심 내용 (3가지)
대화 형식을 통한 정서 표현
화자인 ‘을녀’는 보조 화자인 ‘갑녀’와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임에 대한 애절한 사모의 정을 토로한다.
갑녀는 을녀의 심정을 공감하고 위로하며 대화를 매듭짓는 역할을 한다.
임에 대한 충절과 연군의 정
화자는 임과 이별한 슬픔을 노래하며, 임의 안부와 일상에 대한 걱정을 드러낸다.
죽어서라도 임 곁에 머물고 싶다는 간절한 소망이 표현된다.
자연물을 통한 정서 형상화
구름, 안개, 강물, 바람과 같은 자연물은 임과 화자 사이를 가로막는 장애물로 등장한다.
‘낙월(지는 달)’과 ‘궂은비’는 화자의 분신으로, 죽어서라도 임에게 닿고 싶은 소망을 상징한다.
3. 글 구성
(1) 내용 흐름과 시상 전개
서사 (시작): 임과의 이별
갑녀가 을녀에게 임을 떠나온 이유를 묻고, 을녀가 자신의 사연을 말하며 서두를 연다.
본사 (전개): 임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
을녀는 임의 안위를 걱정하며 산과 강을 방황한다.
임의 소식을 알고자 애타게 기다리다 꿈에서나마 임을 만나지만, 꿈에서 깬 뒤 현실의 슬픔을 토로한다.
결사 (마무리): 죽음으로서의 사랑 극복
화자는 죽어서라도 ‘낙월’이 되어 임의 창에 비추거나 ‘궂은비’가 되어 임에게 닿고 싶다고 소망한다.
(2) 형식과 운율
형식: 가사 문학, 대화체 (두 여인의 문답 형식)
운율: 3·4조 또는 4·4조의 정형적 리듬을 유지함.
4. 표현 기법
대화체 형식
갑녀와 을녀의 대화를 통해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작품에 생동감을 부여한다.
자연물의 상징적 표현
구름과 안개: 임과 화자 사이의 거리감을 상징.
낙월(지는 달): 죽어서라도 임에게 닿고자 하는 간절함을 상징.
궂은비: 화자의 눈물을 상징하며, 임에 대한 소망과 애절함을 드러낸다.
설의법
“하늘을 원망하며 사람을 탓할 수 있으랴”와 같은 표현을 통해 화자의 감정을 강조한다.
감각적 이미지
자연물(구름, 안개, 물결, 바람)을 활용해 시각적, 청각적 이미지를 형상화하고 정서를 극대화한다.
반복과 대조
꿈속에서 임을 만났지만 깨어난 후의 허탈함을 대비시켜 임과의 거리를 더욱 부각한다.
5. 주제와 정서
(1) 주제
임을 향한 애절한 그리움과 충절의 정.
(2) 정서
애절함: 임을 떠나온 슬픔과 그리움이 가득한 정서.
간절함: 죽어서라도 임의 곁에 머물고 싶어하는 화자의 소망.
고독감: 임과 멀어진 화자의 외로움과 방황.
6. 특징과 의의
대화체 형식의 활용
두 여인의 대화를 통해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문학적 긴장감을 높인다.
우리말의 아름다움
순우리말과 섬세한 비유를 통해 한국어의 아름다움과 가사 문학의 정수를 보여준다.
연군지사의 문학적 가치
임금을 향한 충절과 그리움을 여성 화자의 목소리를 빌어 표현하면서도 신하로서의 유교적 도덕성을 반영한다.
가사 문학의 발전
사미인곡과 함께 가사 문학의 극치를 이루며, 문학적 완성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7. 상징과 의미
구름과 안개
화자와 임을 가로막는 장애물로, 현실적 거리감을 상징한다.
낙월 (지는 달)
화자의 죽음을 암시하면서도 임에게 닿고자 하는 절박함과 애절한 사랑을 나타낸다.
궂은비
화자의 눈물을 상징하며, 적극적으로 임에게 마음을 전달하려는 의지를 표현한다.
꿈현실에서 이루지 못한 임과의 만남을 실현하는 공간이지만, 깨어난 후의 허탈함을 대비시켜 임에 대한 사랑을 극대화한다.
8. 감상 포인트
대화 형식의 문학적 효과
갑녀와 을녀의 대화를 통해 화자의 정서를 객관화하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점에 주목한다.
자연물의 상징적 의미
구름, 안개, 낙월, 궂은비 등 다양한 자연물을 통해 화자의 정서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점을 감상한다.
연군지정(戀君之情)의 강조
죽어서라도 임 곁에 머물고 싶다는 적극적인 연모의 태도에 주목한다.
순우리말의 아름다움
세련된 우리말 표현과 음성적 아름다움을 통해 작품의 정서를 더욱 풍부하게 느껴본다.
9. 시험 대비 포인트
작품의 핵심
갈래: 서정 가사
주제: 임에 대한 그리움과 충절
형식: 대화체 (문답 형식)
대화체와 등장인물
갑녀: 화자의 심정을 공감하고 위로하는 역할.
을녀: 화자로서 임에 대한 그리움을 토로하며 주제를 표출.
상징적 표현
‘구름과 안개’, ‘낙월’, ‘궂은비’의 의미를 파악하여 자연물이 가지는 정서적 효과를 이해한다.
비교 작품
사미인곡: 임을 향한 사랑을 독백 형식으로 표현한 작품.
정과정: 임에 대한 절절한 충절과 연군지정을 보여주는 고려 가요.
만능키 속미인곡
‘속미인곡’은 사미인곡의 후속작으로, 두 여인의 대화 형식을 통해 임금에 대한 애절한 사랑과 충절을 표현한 작품이다. 순우리말의 아름다움과 대화체의 구성, 자연물의 상징적 활용이 돋보이며, 가사 문학의 정수를 보여주는 걸작으로 평가된다.
선생님들이 항상 응원하고 있는거 알죠~~?ㅎㅎ
다들 화이팅!
다음은 <청산은 내뜻이오>-황진이
로 돌아올게요~
중등부 1008분 16만원 중등부 1134분 21만원 고등국어 1680분 36만원, 1134분 23만원 고등국어 2268분 46만원 고등국어 3402분 69만원, 2520분 54만원
#국어의키 #성동구국어 #성동국어 #행당국어 #성동구논술 #성동논술 #행당논술
#국어내신 #국어1등급 #고등내신 #고등국어내신 #성동고 #성동고국어 #성동고내신 #성동고기출 #성동고수시 #성동고정시 #고등국어 #기출분석 #국어학평 #국어모고 #입시국어
'새로운 교과서 고등 국어 작품 > 고전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모도 바히 돌도 업슨, 한대부고 국어, 중간고사] (1) | 2024.12.18 |
---|---|
[청산은 내뜻이오, 성동고 국어 내신, 중간 국어 대비 ] (0) | 2024.12.18 |
[동짓달 기나긴 밤을, 금호고 국어, 기말 내신] (0) | 2024.12.18 |
[청산별곡, 무학여고 국어 내신, 경희고 국어내신] (0) | 2024.12.18 |
[논밭 갈아 기음 매고, 장충고 국어 내신, 장충 국어] (0) | 2024.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