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국어의 키입니다!

 

<제망매가>

그동안 올려놓은 <가시리>,<묏버들 갈해 것거> 자료가 많이 도움이 되었나요?

오늘은 친구들을 위해서 <제망매가>를 갖고 왔습니다!

그럼 보러 가볼까요~?

3. 「제망매가」

 

 

한 문장 「제망매가」 : 가을 떨어지는 잎으로 누이를 표현하고 이를 다시 종교적으로 승화, 재회에 대한 소망을 월명사가 죽은 누이를 추모하며 이별의 비애를 자연에 비유하고 불교적 신앙으로 승화한 10구체 향가이다.

 

 

 

 

① 생사(生死)의 문제와 이별의 정한

누이의 죽음을 생사의 갈림길과 낙엽에 비유하며 죽음의 불가피성과 이별의 슬픔을 노래.

 

② 불교적 승화와 재회의 염원

인간적인 슬픔을 극복하고 극락세계에서의 재회를 기원하며 불교의 윤회사상으로 승화.

 

③ 비유적 표현과 형식미

"이른 바람"은 요절, "한 가지"는 혈육, "떨어진 잎"은 누이를 상징하며, 10구체의 정제된 형식을 통해 서정성과 문학성을 극대화.

 

 

 
 
 
 
 
 
 
 
Previous imageNext image
 

 

 

「제망매가」 모듈화

 

① 주제 : 죽은 누이에 대한 추모와 재회의 염원.

 

② 특징 : 4구 4구 2구 → 10구체 향가

낙구 아아 : 시상의 전환, 감정의 집약, "아아"로 시작하는 낙구를 통해 슬픔을 극복하고 재회를 염원하는 전환점 형성.

 

③ 핵심 : 솔직한 사랑의 감정을 담아 동시대 양반 문학과 차별화.

서정시로서의 아름다움을 구현.

 

④ 자연물을 통한 죽음과 인생의 무상함 형상화. “머뭇거리고” - 죽음에 대한 두려움/ “기다리겠노라” - 재회 소망, 의지

 

⑤ 의의

향가 중 서정성과 표현 기교가 뛰어난 작품.

불교적 신앙으로 슬픔을 초극하며 인간적 감정을 종교적으로 승화.

제망매가는 가을 떨어지는 잎으로 누이를 표현하고 이를 다시 종교적으로 승화, 재회에 대한 소망을 월명사가 죽은 누이를 추모하며 이별의 비애를 자연에 비유하고 불교적 신앙으로 승화한 10구체 향가입니다

생사(生死)의 문제와 이별의 정한, 불교적 승화와 재회의 염원, 비유적 표현과 형식미에 대하여 짧게 부연 설명

내용을 카드에 담았습니다!

 

3.pdf
1.27MB

 

선생님이 카드에 정리해놓은 내용은 꼭 알아두고 넘어갑시다!!

3. 제망매가 월명사.hwp
0.02MB

제망매가(祭亡妹歌) 월명사

 

生死路隱(생사로은)

此矣有阿米次肹伊遣(차의유아미차힐이견)

吾隱去內如辭叱都(오은거내여사질도)

毛如云遣去內尼叱古(모여운견거내니질고)

於內秋察早隱風未(어내추찰조은풍미)

此矣彼矣浮良落尸葉如(차의피의부량락시엽여)

一等隱枝良出古(일등은지량출고)

去奴隱處毛冬乎丁(거노은처모동호정)

阿也彌陀刹良逢乎吾(아야미찰량봉호오)

道修良待是古如(도수량대시고여)

 

김완진 해독

 

생사(生死) 길흔

이ᅌᅦ 이샤매 머믓그리고

나ᄂᆞᆫ 가ᄂᆞ다 말ᄯᅩ

몯다 니르고 가ᄂᆞ닛고.

어느 ᄀᆞᅀᆞᆯ 이른 ᄇᆞᄅᆞ매

이ᅌᅦ 뎌ᅌᅦ ᄠᅳ러딜 닙ᄀᆞᆮ

ᄒᆞᄃᆞᆫ 가지라 나고

가논 곧 모ᄃᆞ론뎌.

아야 미타찰(彌陀刹)아 맛보올 나

도(道) 닷가 기드리고다.

 

생사(삶과 죽음)의 길은

여기에 있으매 머뭇거리고

나는 간다는 말도

못다 이르고 갔는가?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여기저기에 떨어지는 잎처럼

같은 나뭇가지(부모)에 나고서도

(네가) 가는 곳을 모르겠구나.

아아, 극락세계에서 만날 나는

도를 닦으며 기다리겠노라.

 

 

 

1. 한 문장 제망매가

‘제망매가’는 월명사가 누이의 죽음을 계기로 삶과 죽음의 문제를 성찰하며, 슬픔을 불교적 믿음으로 승화하여 극락에서의 재회를 기원한 10구체 향가이다.

 

2. 주요 핵심 내용 (3가지)

 

누이의 죽음과 화자의 슬픔

화자는 누이의 죽음을 가을바람에 떨어진 낙엽에 비유하며, 생사의 갈림길에서 느끼는 허무감과 이별의 고통을 표현한다.

 

"나는 간다는 말도 못다 이르고 갔는가"를 통해 죽음을 예고 없이 맞이한 누이에 대한 안타까움을 드러낸다.

 

자연 비유를 통한 생사 표현

‘이른 바람’, ‘떨어지는 잎’, ‘같은 나뭇가지’ 등의 자연 이미지를 통해 삶과 죽음의 섭리를 시적으로 형상화한다.

 

‘같은 나뭇가지’는 화자와 누이의 혈육 관계를 상징하며, 이별의 불가피함을 드러낸다.

불교적 승화와 재회에 대한 염원

화자는 아미타불이 계신 극락세계(미타찰)에서 누이와 다시 만나기를 기원하며, 자신의 슬픔을 종교적 믿음으로 승화한다.

“도를 닦으며 기다리겠노라”는 표현은 화자의 극락왕생에 대한 염원과 인내를 보여준다.

 

 

3. 글 구성

(1) 내용 흐름과 시상 전개

1~2구: 누이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안타까워하며 이별의 슬픔을 표현한다.

"나는 간다는 말도 못다 이르고 갔는가"에서 화자의 허무감과 충격이 드러난다.

 

3~4구: 가을바람에 떨어지는 낙엽에 누이의 죽음을 비유하며 이별의 불가피함을 표현한다.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여기저기에 떨어지는 잎처럼"은 자연의 섭리를 통해 생사를 비유한다.

 

5~8구: 누이와 화자가 같은 부모로부터 나왔음을 강조하며 혈육의 연대감과 죽음의 허무함을 나타낸다.

"같은 나뭇가지에 나고서도"는 이승의 인연이 사라지는 죽음의 현실을 표현한다.

 

9~10구: 불교적 세계관을 통해 슬픔을 승화하고, 극락세계에서의 재회를 기원한다.

"극락세계에서 만날 나는 도를 닦으며 기다리겠노라"는 종교적 믿음과 인내를 보여준다.

 

 

 

(2) 형식과 운율

형식: 10구체 향가 (3단 구조: 기-승-결)

운율: 4구와 6구의 절묘한 대칭 구조를 통해 서정적이고 정제된 리듬감을 형성한다.

 

4. 표현 기법

비유법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여기저기에 떨어지는 잎처럼"을 통해 누이의 죽음을 가을 낙엽에 비유하며 삶과 죽음의 섭리를 형상화한다.

 

대비법

‘생사로(삶과 죽음의 길)’와 ‘극락세계’를 대비시켜 인간의 허무한 죽음과 그 극복을 보여준다.

종교적 승화

불교적 세계관을 통해 죽음을 초월하고 극락세계에서의 재회를 기원함으로써 슬픔을 극복한다.

 

감정의 절제

감정을 절제하면서도 비유와 종교적 의미를 통해 깊이 있는 슬픔과 희망을 동시에 표현한다.

 

 

5. 주제와 정서

(1) 주제

죽은 누이에 대한 추모와 극락세계에서의 재회를 기원하는 화자의 종교적 성찰과 염원.

 

(2) 정서

애상적: 누이의 죽음을 안타까워하며 느끼는 슬픔과 허무감.

성찰적: 삶과 죽음의 섭리를 자연의 비유를 통해 성찰함.

종교적: 불교적 믿음을 바탕으로 죽음을 극복하고 재회를 기원함.

 

 

6. 특징과 의의

문학적 완성도

죽음을 자연물(바람, 낙엽, 나뭇가지)에 비유하여 고도의 서정성과 문학적 아름다움을 드러냄.

 

불교적 세계관

화자는 죽음을 극락세계에서의 재회라는 종교적 믿음으로 승화하여 이별의 슬픔을 극복한다.

 

향가의 형식미

10구체 향가의 정형성을 유지하면서도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인간적 보편성

죽음을 맞이한 인간의 슬픔과 허무감, 그리고 그것을 극복하려는 태도는 시대와 종교를 초월한 보편적 주제이다.

 

 

7. 상징과 의미

이른 바람과 낙엽

갑작스러운 죽음과 이별을 상징하며, 자연의 섭리를 통해 삶의 무상함을 드러낸다.

 

같은 나뭇가지

화자와 누이가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난 혈육임을 강조하며 가족적 연대감을 나타낸다.

 

미타찰(극락세계)

죽음을 극복하고 누이와 재회할 수 있는 불교적 이상향을 의미한다.

 

 

8. 감상 포인트

죽음을 비유적으로 형상화

‘이른 바람’과 ‘떨어지는 잎’은 자연의 섭리를 통해 죽음의 허무함을 시적으로 표현한다.

 

종교적 승화

슬픔을 극복하기 위해 불교적 신앙에 기대어 극락에서의 재회를 기원하는 화자의 태도.

 

정서의 절제와 형식미

감정을 과장하지 않고 절제된 언어와 구조를 통해 깊이 있는 서정성을 드러낸다.

 

보편적 주제

죽음을 마주한 인간의 슬픔과 그것을 극복하려는 의지는 시대와 문화를 초월한 보편적 정서이다.

 

 

9. 시험 대비 포인트

작품의 핵심

갈래: 10구체 향가

주제: 누이의 죽음을 추모하고 극락에서의 재회를 기원함

특징: 비유적 표현, 종교적 승화, 정제된 형식

 

비유적 표현

‘이른 바람’과 ‘떨어지는 잎’을 통해 죽음의 허무함을 상징적으로 표현함.

 

종교적 의미

‘미타찰’(극락세계)과 ‘도를 닦으며 기다리겠노라’를 통해 죽음을 불교적 관점에서 승화함.

 

비교 작품

가시리: 이별을 슬퍼하면서도 재회를 기원하는 여성 화자의 정서와 비교됨.

진달래꽃: 떠나는 임을 체념적으로 보내는 슬픔과 대비됨.

 

 

제망매가 만능키

‘제망매가’는 누이의 죽음을 슬퍼하는 화자의 정서를 비유적이고 종교적으로 승화한 걸작 향가이다. 자연의 섭리와 불교적 세계관을 통해 죽음을 초월하고 극락세계에서의 재회를 기원하는 화자의 태도는 깊은 서정성과 철학적 성찰을 드러낸다. 이는 인간의 삶과 죽음을 동시에 성찰하는 보편적 가치를 담은 작품으로, 향가 문학의 백미로 평가받는다.

항상 학생들을 먼저 생각하는 국어의 키입니다!

언제든지 피드백 내용, 문의 해주세요!

다양한 자료를 만들며 기다리고 있을게요~

우리 예비 고1 친구들 지금이 정말 중요한 때이니, 놓치지 말고 여러 작품들을 미리 알아둡시다

화이팅!

다음에는 <십년을 경영하여>-송순 작품으로 찾아올게요



국어의키 국어논술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로8길 8-1 201호 리딩플러스 국어의 키

중등부 1008분 16만원 중등부 1134분 21만원 고등국어 1680분 36만원, 1134분 23만원 고등국어 2268분 46만원 고등국어 3402분 69만원, 2520분 54만원

#국어의키 #성동구국어 #성동국어 #행당국어 #성동구논술 #성동논술 #행당논술

#국어내신 #국어1등급 #고등내신 #고등국어내신 #성동고 #성동고국어 #성동고내신 #성동고기출 #성동고수시 #성동고정시 #고등국어 #기출분석 #국어학평 #국어모고 #입시국어

안녕하세요~

새롭게 교과서가 바뀐만큼 우리친구들이 공부해야 할 자료가

많이 부족할거라 생각해요

국어의 키는 언제나 학생들을 위해 자료를 제작하고 있답니다!

<묏버들 갈해 것거>

오늘은 지난번 <가시리>에 이어서

<묏버들 갈해 것거>를 준비했습니다!

2. 「묏버들 갈해 것거」

 

 

한 문장 「묏버들 갈해 것거」 : 사랑하는 임과의 이별 속에서도 분신인 묏버들을 통해 영원한 사랑과 그리움을 간절히 전하는 기녀 홍랑의 애상적 평시조이다.

 

 

 

 

① 분신을 통한 사랑의 표현

화자는 묏버들을 임에게 보내며, 자신의 마음이 항상 임의 곁에 있음을 분신으로 상징화.

 

② 자연물을 통한 서정적 표현

묏버들, 새 잎, 밤비와 같은 자연물을 통해 임에 대한 사랑과 정서를 섬세하게 형상화.

 

③ 이별의 정한과 애절한 다짐

떠나는 임을 보내며 자신의 존재를 기억해 달라는 간절한 호소와 변치 않는 사랑의 다짐을 담음.

 

 

 
 
 
 
Previous imageNext image
 

 

 

「묏버들 갈해 것거」 모듈화

 

① 주제 :

임과의 이별 속에서 표현되는 변치 않는 사랑과 그리움.

 

② 특징 : 자연물을 매개로 화자의 정서를 형상화.

소박하면서도 세련된 표현으로 여성적 감정을 절절히 드러냄.

 

③ 핵심 : 솔직한 사랑의 감정을 담아 동시대 양반 문학과 차별화.

서정시로서의 아름다움을 구현.

 

④ 상징적 대상

묏버들: 화자의 분신이자 임과의 연결 매개체로 상징적 역할 수행.

 

⑤ 문학사적 의의

남녀 간 사랑을 솔직히 노래한 기녀 시조의 대표작.

시조 작가층 확장의 계기로 문학사적 전환에 기여.

 

그럼 보러 가볼까요~

 

묏버들 갈해 것거는 사랑하는 임과의 이별 속에서도

분신인 묏버들을 통해 영원한 사랑과 그리움을 간절히 전하는

기녀 홍랑의 애상적 평시조입니다!

분신을 통한 사랑의 표현,

자연물을 통한 서정적 표현,

이별의 정한과 애절한 다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pdf
1.44MB

부연 설명은 카드 자료를 참고해주세요~ㅎㅎ

 

2. 묏버들 가해 것거 홍랑 2.hwp
0.02MB

묏버들 갈해 것거(홍랑)

 

擇折楊柳寄千里:묏버들 가려 꺾어 보내노라 임에게

 

人爲試向庭前種:주무시는 창 밖에 심어두고 보소서

 

須知一夜生新葉:밤비에 새 잎이 나거든 나인가 하고 여기소서

 

 

1. 한 문장 묏버들 갈해 것거

‘묏버들 갈해 것거’는 이별의 아픔과 임에 대한 애틋한 사랑을 ‘묏버들’을 상징적으로 사용하여 간절하게 표현한 기녀 홍랑의 평시조이다.

 

2. 주요 핵심 내용 (3가지)

 

이별의 아픔과 화자의 당부

화자는 자신을 상징하는 ‘묏버들’을 보내며 멀리 떠나는 임에게 자신을 잊지 말아 달라고 당부한다.

이는 이별의 정한을 표현하면서도 임과의 애정을 유지하고 싶은 화자의 간절한 마음을 나타낸다.

묏버들의 상징적 의미

‘묏버들’은 화자의 청아하고 순결한 마음, 그리고 화자의 분신을 의미한다.

 

새 잎이 돋아나는 것을 통해 화자의 존재를 떠올려 달라는 부탁이자 사랑이 변치 않기를 바라는 소망이 담겨 있다.

 

여성적 정서와 애이불비(哀而不悲)

화자는 직접적으로 이별의 고통을 드러내기보다는 ‘묏버들’과 같은 자연물을 통해 정서를 우회적으로 표현한다.

 

 

3. 글 구성

(1) 내용 흐름과 시상 전개

초장:

"묏버들 가려 꺾어 보내노라 님에게"

화자는 아름다운 ‘묏버들’을 골라 꺾어 임에게 보내며 자신의 사랑과 정성을 표현한다.

 

중장:

"자시는 창밖에 심어 두고 보소서"

화자는 임이 ‘묏버들’을 창밖에 심어두고 살펴보기를 바란다.

이는 멀리 떨어져 있어도 자신을 기억해 달라는 애절한 당부이다.

 

종장:

"밤비에 새잎 나거든 나인가도 여기소서"

밤비에 새잎이 돋아나면 그것을 보고 자신을 떠올려 달라는 간절한 소망이 표현된다.

이는 이별의 아픔 속에서도 화자가 임과의 애정을 유지하고 싶어 하는 마음을 보여준다.

 

 

(2) 형식과 운율

형식: 평시조, 단시조 (3장 구조)

운율: 3음보의 정형적 운율을 유지하면서 간결하고 서정적인 표현을 사용함.

 

4. 표현 기법

상징법

‘묏버들’은 화자의 순결한 마음과 사랑의 분신을 상징하며, 화자의 존재를 대신하여 임에게 전해지는 매개체로 사용된다.

 

도치법

“자시는 창밖에 심어 두고 보소서”와 같은 문장 구조를 통해 화자의 간절함을 강조하고 정서를 고조시킨다.

 

우회적 표현

직접적으로 사랑과 이별의 고통을 이야기하지 않고 자연물인 ‘묏버들’을 통해 정서를 우회적으로 표현한다.

 

청유형 어조

"심어 두고 보소서", "나인가도 여기소서"와 같은 청유형 문장을 사용하여 화자의 간절한 마음을 조심스럽게 전달한다

 

.

5. 주제와 정서

(1) 주제

임에게 보내는 사랑과 이별의 아픔, 그리고 재회를 바라는 간절한 소망.

 

(2) 정서

애절함: 떠나는 임을 향한 그리움과 이별의 고통.

간절함: 자신을 잊지 말아 달라는 화자의 당부와 소망.

절제된 슬픔: 직접적인 표현 대신 자연물을 통해 정서를 은유적으로 드러냄.

 

 

6. 특징과 의의

홍랑의 시조는 섬세한 표현과 아름다운 언어로 여성적 정서를 드러내며, 시조 문학의 폭을 넓힌 작품이다.

 

자연물을 통한 정서 표현

‘묏버들’이라는 자연물을 통해 사랑과 이별의 감정을 은유적으로 표현하며, 이는 한국 문학 특유의 자연 친화적 정서를 잘 보여준다.

 

 

시조 문학의 정형성

평시조의 형식(3장 구조, 3음보 운율)을 바탕으로 간결하면서도 강한 울림을 주는 표현이 돋보인다.

 

애절한 여성적 목소리

이별 상황을 여성 화자의 섬세하고 절제된 목소리로 표현하며, 임에 대한 애틋한 마음과 애절함이 느껴진다.

 

 

7. 상징과 의미

‘묏버들’

청순하고 순결한 사랑을 상징하며, 화자의 분신 역할을 한다.

임에게 보내는 묏버들은 화자의 마음과 존재를 대신 전달하는 매개체이다.

 

새잎이 돋아나는 이미지

새 잎은 화자의 변치 않는 사랑과 영원한 그리움을 의미한다.

화자는 새잎을 보며 자신을 떠올려 달라고 간절히 부탁한다.

 

청유형 어조

임에 대한 조심스럽고 애틋한 당부와 간절한 소망이 청유형 어조를 통해 부드럽게 전달된다.

 

 

8. 감상 포인트

자연물 ‘묏버들’의 상징적 의미

묏버들은 화자의 청순한 마음과 임에 대한 사랑을 상징하며, 화자의 존재를 대신하는 역할을 한다.

 

절제된 표현 속의 애절한 정서

화려한 표현 대신 소박하고 절제된 언어로 이별의 슬픔과 그리움을 표현한다.

 

직서적

특유의 솔직하고 섬세한 감정 표현이 두드러진다.

 

이별과 재회의 양면성

이별의 슬픔을 노래하면서도 임과 다시 이어지기를 바라는 소망이 드러난다.

 

 

 

 

 

 

9. 시험 대비 포인트

 

작품의 핵심

갈래: 평시조

주제: 임에 대한 사랑과 이별의 애절함

특징: 상징법, 도치법, 청유형 어조

 

상징적 표현

‘묏버들’의 상징적 의미와 새잎이 돋아나는 이미지의 의미.

 

 

기녀 시조와 사대부 시조의 비교

사대부 시조: 관념적, 교훈적 성격이 강함.

기녀 시조: 감정이 솔직하게 표출되며 인간적 정서를 강조함.

 

 

비교 작품

가시리: 이별의 정한과 재회를 기약하는 여성 화자의 정서가 유사함.

진달래꽃: 떠나는 임에 대한 체념적 사랑과 유사한 정서가 드러남.

 

 

묏버들 갈해 것거’ 만능키

 

‘묏버들 갈해 것거’는 기녀 홍랑의 작품으로, 자연물을 통해 이별의 정한과 임에 대한 사랑을 섬세하고 절제된 언어로 형상화한 시조이다. ‘묏버들’이라는 상징적 소재를 사용하여 화자의 순결한 마음을 표현하고, 새 잎이 돋아나는 이미지를 통해 사랑의 영속성을 강조한다. 이는 기녀 시조 특유의 솔직한 정감과 서정성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시조 문학의 한 축을 이루는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가뜩이나 무거운 교과서, 프린트로 힘들 우리 학생들을

위하여 모바일 버전으로 준비했습니다!

간단하게 휴대폰, 아이패드로 보기에 용이해요 ㅎㅎ

우리 예비 고1 친구들 화이팅!

다음에는 제망매가 자료로 찾아올게요~~


국어의키 국어논술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로8길 8-1 201호 리딩플러스 국어의 키

중등부 1008분 16만원 중등부 1134분 21만원 고등국어 1680분 36만원, 1134분 23만원 고등국어 2268분 46만원 고등국어 3402분 69만원, 2520분 54만원

#국어의키 #성동구국어 #성동국어 #행당국어 #성동구논술 #성동논술 #행당논술

#국어내신 #국어1등급 #고등내신 #고등국어내신 #성동고 #성동고국어 #성동고내신 #성동고기출 #성동고수시 #성동고정시 #고등국어 #기출분석 #국어학평 #국어모고 #입시국어

 

안녕하세요

예비 고1 친구들~

교과서가 달라져서 당혹스럽기도하고

자료를 찾으며 어려움을 겪고 있을거에요

그래서 국어의 키에서 우리 친구들을 위해서

예비 고1 고전 운문 자료를 준비해왔어요!

<가시리>

첫번째로는 <가시리> 입니다!

그럼 보러가볼까요?ㅎㅎ

1. 「가시리」

 

 

한 문장 「가시리」 : 사랑하는 임과의 이별 속에서 느껴지는 애절한 정한을 소박한 시어와 민요적 운율로 형상화한 고려 가요이다.

 

 

 

 

① 이별 정한과 체념

이별의 고통을 받아들이면서도 임의 재회를 염원하는 정서를 절제된 표현으로 담음.

 

② 여성적 정조와 화자의 태도

임에 대한 사랑과 존경 속에서 체념적 순응과 간절한 재회를 기원하는 소극적 태도.

 

③ 민요적 서정과 운율

3·3·2조, 3음보의 간결한 리듬과 소박한 표현으로 슬픔을 효과적으로 형상화.

 

「가시리」 모듈화

 

① 주제 : 이별 속 정한과 재회의 염원.

 

② 특징 : 소박한 시어와 반복적 구조를 통한 정서의 표현.

후렴구를 통한 리듬감과 음악적 효과.

 

③ 핵심 : 이별의 정한을 형상화한 전통적 정조의 원형.

후대 작품에 영향을 미친 국문학사적 의의.

 

④ 후렴구의 역할

리듬감 강화와 궁중 속악의 영향 반영.

 

⑤ 이별과 체념, 그리고 재회 희망의 정서를 절제된 언어와 민요적 형식, 이별의 정한(情恨)과 여성적 정조

 

<가시리>는 사랑하는 임과의 이별 속에서 느껴지는 애절한 정한을 소박한 시어와 민요적 운율로 형상화한 고려 가요에요

 

이별 정한과 체념, 여성적 정조와 화자의 태도, 민요적 서정과 운율을 나타내고 있답니다!

그에 맞는 부연 설명도 카드 안에 정리해두었어요 ㅎㅎ

 

1.pdf
1.20MB

그리고 우리 친구들을 위해서 모바일 버전으로 제작해왔어요!

들고 다니기에 간편하니깐, 자주 보며 외워둡시다

1. 가시리 2.hwp
0.02MB

가시리(작자 미상)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ᄂᆞᆫ

ᄇᆞ리고 가시리잇고 나ᄂᆞᆫ

위 증즐가 大平盛代대평성ᄃᆡ

 

 

날러는 엇디 살라 ᄒᆞ고

ᄇᆞ리고 가시리잇고 나ᄂᆞᆫ

위 증즐가 大平盛代대평성ᄃᆡ

 

 

잡ᄉᆞ와 두어리마ᄂᆞᄂᆞᆫ

선ᄒᆞ면 아니 올셰라

위 증즐가 大平盛代대평성ᄃᆡ

 

 

셜온 님 보내ᄋᆞᆸ노니 나ᄂᆞᆫ

가시ᄂᆞᆫ ᄃᆞᆺ 도셔 오쇼셔 나ᄂᆞᆫ

위 증즐가 大平盛代

 

 

1. 한 문장 가시리

‘가시리’는 사랑하는 임과의 이별을 받아들이면서도 재회를 염원하는 화자의 애절하고 절제된 정서를 간결한 시어와 반복적 구조로 표현한 고려 가요이다.

 

2. 주요 핵심 내용 (3가지)

이별의 정한과 화자의 체념

사랑하는 임이 떠나는 상황에서 화자는 붙잡고 싶어 하지만, 떠나려는 상대를 억지로 붙잡지 못하고 체념하며 이별을 수용한다.

이는 자기희생적이고 수동적인 여성적 정서를 반영하며, 임에 대한 예의를 갖추려는 화자의 태도가 드러난다.

 

간결하면서도 반복적인 표현

반복적 시구(예: "가시리 가시리잇고")를 통해 이별의 슬픔과 미련을 강조한다.

여음구 ‘위 증즐가 대평셩대’를 삽입함으로써 음악적 운율감을 더하고, 속악으로서의 기능을 강화한다.

 

 

 

재회에 대한 염원과 소망

마지막 연에서는 임이 떠나자마자 곧 돌아오기를 간절히 바라는 소망이 표현된다.

이는 단순한 체념이 아니라 이별 속에서도 재회를 기약하는 희망적 정서를 내포한다.

 

 

3. 글 구성

(1) 내용 흐름과 시상 전개

1연:

임에게 떠날 것인지 확인하며 화자는 슬픔을 드러낸다.

"가시리 가시리잇고"는 이별을 막으려는 화자의 간절한 마음을 반복적으로 표현한다.

 

2연:

떠나는 임에게 자신의 존재 의미를 강조하며, 이별의 고통과 미련을 절실하게 드러낸다.

"날러는 엇디 살라 하고"는 자신이 처할 외로운 상황을 암시한다.

 

3연:

떠나는 임을 붙잡고 싶지만, 그로 인해 임의 마음이 서운해질까 두려워 화자는 이별을 받아들인다.

이는 감정의 절제와 동시에 상대를 배려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4연:

떠나는 임이 가자마자 곧 돌아오기를 바라는 화자의 소망과 기대를 드러내며 마무리된다.

이별의 체념 속에서도 다시 만날 것이라는 희망이 표현된다.

 

 

(2) 형식과 운율

분연체: 총 4연으로 구성되어 있다.

운율: 3음보, 3.3.2조의 리듬감을 유지한다.

후렴구(위 증즐가 대평셩대): 의미보다는 음악적 효과와 리듬감을 위해 삽입되었으며, 궁중 음악으로 불리던 속악적 특성을 보여준다.

 

 

4. 표현 기법

반복법

"가시리 가시리잇고"와 같은 반복적 표현을 통해 슬픔과 미련을 강조한다.

반복은 화자의 정서 고조와 리듬감을 형성한다.

 

의문형 문장

"가시리잇고"는 임에게 떠나는 것인지 물으며 상대방에게 호소하는 방식으로 화자의 감정을 드러낸다.

이는 소극적이고 절제된 표현을 통해 더욱 애절함을 배가한다.

 

여성적 어조

임을 존중하며 떠나는 것을 막지 못하고 체념하는 태도는 전통적 여성 정서를 상징한다.

 

대비와 갈등

붙잡고 싶지만 노여움을 살까 두려워 임을 보내야 하는 심리적 갈등을 드러낸다.

이 갈등 속에서 화자는 현실을 수용하며 이별을 받아들인다.

 

 

5. 주제와 정서

(1) 주제

사랑하는 임과의 이별을 체념하며 받아들이지만, 다시 만날 것이라는 희망을 표현.

 

(2) 정서

애절함: 떠나는 임을 잡지 못하는 슬픔.

체념: 현실을 받아들이는 화자의 수동적 태도.

희망: 임이 곧 돌아오기를 바라는 간절한 소망.

 

 

6. 특징과 의의

한국 문학 전통의 이별 정서

‘가시리’는 고려 시대부터 이어져 온 한국적 ‘한(恨)’의 정서를 대표한다.

이후 황진이의 시조, 민요 아리랑, 김소월의 ‘진달래꽃’ 등으로 이어지는 문학적 계보를 형성한다.

 

단순하고 소박한 시어

화려한 수사보다는 직설적이고 절제된 표현을 통해 감정을 더욱 절실하게 드러낸다.

 

속악적 특징

궁중 음악으로 채택되었기 때문에 후렴구와 리듬감 있는 운율이 강조되었다.

 

여성적 정서의 표현

떠나는 임을 배려하며 자신의 감정을 절제하는 화자의 태도는 여성적 정조를 상징한다.

 

 

7. 상징과 의미

반복적 시어(가시리)

떠나는 임에 대한 미련과 이별의 아픔을 강조한다.

여음구 ‘위 증즐가 대평셩대’

의미 없이 삽입되었지만 음악적 운율감을 더하며, 궁중 속악으로서의 성격을 보여준다.

화자의 태도

임에 대한 배려와 감정 절제를 통해 여성적 희생과 순종적 태도가 드러난다.

 

 

8. 감상 포인트

이별의 정한과 체념적 태도

떠나는 상황을 수용하면서도 재회를 기원하는 화자의 이중적 감정.

 

단순한 언어와 반복의 미학

직설적 시어와 반복을 통해 정서를 강조하고 운율감을 형성.

 

여성적 정서와 한국적 한

여성 화자의 감정 절제와 희망적 태도는 한국 문학의 보편적 정서를 잘 보여준다.

 

고려 가요의 형식미

3음보와 분연체를 통해 리듬감과 구조적 안정감을 제공한다.

 

 

9. 시험 대비 포인트

작품의 핵심

갈래: 고려 가요

주제: 이별의 정한과 재회에 대한 소망

특징: 반복법, 의문형 문장, 3음보 운율

 

여성 화자의 태도

떠나는 임을 존중하며 체념하는 모습과 재회를 염원하는 감정의 이중성.

 

 

비교 작품

서경별곡: 적극적으로 이별을 거부하는 화자와 대조.

진달래꽃: 체념적 태도로 임을 떠나보내는 감정의 유사성.

여음구와 후렴구의 기능

음악적 효과와 속악적 특징을 보여준다.

 

 

가시리 만능키

‘가시리’는 고려 가요의 대표작으로, 이별의 정한을 절제된 언어와 반복적 구조로 표현하며 우리 민족의 전통적 정서를 형상화한다. 이는 단순한 이별의 슬픔을 넘어 체념과 소망이 공존하는 복합적 감정을 드러내며, 이후 한국 문학 속 한의 정서로 이어지는 중요한 작품이다.

 

뒤에 사진도 내용과 관련된 그림들로 해놨으니깐

그림으로도 정서를 간편하게 알아두면 좋을거같아요~

예비 고1 친구들 화이팅~!

다음 자료는

<묏버들 가해 것거>로 돌아올게요~!


 

 

국어의키 국어논술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로8길 8-1 201호 리딩플러스 국어의 키

 

중등부 1008분 16만원 중등부 1134분 21만원 고등국어 1680분 36만원, 1134분 23만원 고등국어 2268분 46만원 고등국어 3402분 69만원, 2520분 54만원

#국어의키 #성동구국어 #성동국어 #행당국어 #성동구논술 #성동논술 #행당논술

#국어내신 #국어1등급 #고등내신 #고등국어내신 #성동고 #성동고국어 #성동고내신 #성동고기출 #성동고수시 #성동고정시 #고등국어 #기출분석 #국어학평 #국어모고 #입시국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