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최상위권을 향해 달려가는 학생들이
다니는 국어의 키입니다!
오늘 가져온 고전시가는
<강호맹사성>입니다!
7. 「강호사시가」 맹사성
한 문장 「강호사시가」 : 강호의 사계절을 배경으로 자연과의 조화를 즐기며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는 삶을 노래한 작품으로, 유교적 충의 사상을 반영
① 자연과의 조화
자연 속에서의 삶을 통해 화자가 느끼는 기쁨과 여유, 그리고 임금에 대한 감사의 정서를 표현.
② 계절별 감정 변화
1연: 봄의 생동감과 흥취,
2연: 여름의 한가로움과 여유,
3연: 가을의 풍요로움과 고기잡이의 즐거움,
4연: 겨울의 차가운 날씨 속에서도 자연의 아름다움 감상.
③ 유교적 가치관
임금의 은혜에 대한 감사와 충성을 강조하며, ‘역군은이샷다’라는 구절로 마무리
「강호사시가」 모듈화
① 주제
자연 속에서의 즐거움과 임금의 은혜에 대한 감사함을 표현.
② 특징
대유법, 대구법, 의인법 등의 수사적 기법을 통해 감정과 상황을 생생하게 전달. 각 연의 형식적 통일성으로 안정감과 리듬감을 제공.
③ 의의
자연과의 조화를 통해 유교적 가치관
④
춘사(春詞): 봄의 흥취
하사(夏詞): 여름의 한가로운 초당 생활
추사(秋詞): 가을의 풍요로움, 고기잡이 즐거움
동사(冬詞): 겨울의 설경 속에서 안분지족
⑤ 형식적 통일성
각 연의 초장에서는 계절의 변화와 그에 따른 흥취를, 중장에서는 화자의 구체적인 생활 모습을, 종장에서는 계절마다 느끼는 감정과 삶의 모습을 나타냄
그럼 바로 자료 보러 가실까요?
모바일 버전으로 준비해놨으니까
편리하게 들고다니면서 많이! 자주! 보세요~!
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맹사성)
〈춘사(春詞)〉
강호(江湖)에 봄이 드니 미친 흥(興)이 절로 난다
탁료계변(濁醪溪邊)에 금린어(錦鱗魚) 안주로다
이 몸이 한가하옴도 역군은(亦君恩)이샷다
〈하사(夏詞)〉
강호(江湖)에 여름이 드니 초당(草堂)에 일이 없다
유신(有信)한 강파(江波)는 보내느니 바람이로다
이 몸이 서늘하옴도 역군은(亦君恩)이샷다
1. 한 문장 강호사시가
‘강호사시가’는 강호의 사계절을 즐기며 안빈낙도의 삶을 추구하고, 이를 임금의 은혜로 귀결시키는 조선 전기의 강호가도 작품이다.
2. 주요 핵심 내용 (3가지)
강호의 사계절과 자연 속의 한가로운 생활
화자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변화에 따라 자연 속에서 유유자적하며 풍류를 즐긴다.
이는 강호에서 안분지족(安分知足)하는 삶을 추구하는 은사(隱士)의 태도를 드러낸다.
유교적 충의 사상
각 연의 종장에 등장하는 “역군은이샷다”를 통해 자연 속의 여유로운 삶이 임금의 은혜 덕분임을 강조한다.
이는 강호가도의 근본 정신인 충의(忠義) 사상과 태평성대에 대한 찬양을 반영한다.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삶
화자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풍요로움을 노래하며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삶을 그린다.
이는 조선 사대부들의 이상적 생활을 표현한 것이다.
3. 글 구성
(1) 내용 흐름과 시상 전개
춘사(春詞)
초장: “강호에 봄이 드니 미친 흥이 절로 난다”
봄의 도래에 흥이 솟구치며 자연의 생기를 느낀다.
중장: “탁료계변에 금린어 안주로다”
탁주와 싱싱한 물고기를 안주로 삼아 자연을 즐긴다.
종장: “이 몸이 한가하옴도 역군은이샷다”
이러한 삶도 모두 임금의 은혜 덕분임을 강조한다.
하사(夏詞)
초장: “강호에 여름이 드니 초당에 일이 없다”
더운 여름, 초당에서 바람을 맞으며 여유로운 시간을 보낸다.
중장: “유신한 강파는 보내느니 바람이로다”
신뢰할 수 있는 강물결과 시원한 바람이 찾아온다.
종장: “이 몸이 서늘하옴도 역군은이샷다”
더위를 잊고 서늘한 기운을 느끼는 것도 임금의 은혜이다.
추사(秋詞)
초장: “강호에 가을이 드니 고기마다 살져 있다”
가을의 풍요로움을 노래하며 자연의 넉넉함을 즐긴다.
중장: “소정에 그물 실어 흘리 띄워 던져 두고”
작은 배에 그물을 싣고 물결 따라 던져놓으며 한가롭게 지낸다.
종장: “이 몸이 소일하옴도 역군은이샷다”
이러한 소일(消日)도 모두 임금의 은혜 덕분이다.
동사(冬詞)
초장: “강호에 겨울이 드니 눈 깊이 자히 남다”
눈이 깊이 쌓여 겨울의 정취가 가득하다.
중장: “삿갓 비껴 쓰고 누역으로 옷을 삼아”
소박한 삿갓과 도롱이로 추위를 막으며 자연 속에서 생활한다.
종장: “이 몸이 춥지 아니하옴도 역군은이샷다”
추위를 모르고 지내는 것도 임금의 은혜 덕분임을 강조한다.
(2) 형식과 운율
형식: 연시조(4수, 각 수가 초장·중장·종장으로 구성)
운율: 3음보의 정형적 율격을 유지하면서 자연스러운 흐름을 보여줌.
4. 표현 기법
반복법
“역군은이샷다”를 각 연의 종장에서 반복하여 임금의 은혜를 강조한다.
대유법
자연물과 풍경을 통해 강호의 사계절을 간결하게 묘사한다.
의인법
“유신한 강파는 보내느니 바람이로다”와 같이 강물결에 인격을 부여하여 시원함을 표현한다.
대구법
각 연의 구성(계절 → 생활 모습 → 임금의 은혜)이 반복되어 통일감과 안정감을 준다.
5. 주제와 정서
(1) 주제
강호의 사계절 속에서 자연과 하나 되어 안빈낙도하며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는 삶.
(2) 정서
풍류적 즐거움: 자연 속에서 여유로운 삶을 즐기는 화자의 태도.
안분지족: 만족할 줄 아는 소박하고 한가로운 삶의 태도.
충의 정신: 자연의 삶 속에서도 임금의 은혜를 잊지 않는 화자의 충성심.
6. 특징과 의의
강호가도의 선구적 작품
자연을 찬미하면서 유교적 충의 사상을 결합한 강호가도의 대표적 작품이다.
최초의 연시조
사계절을 각 수마다 노래한 연시조 형식으로 시조 문학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조화로운 삶의 모습
자연 속에서 풍류를 즐기며 조화를 추구하는 사대부들의 이상적 삶이 드러난다.
유교적 가치관
자연을 즐기면서도 “역군은이샷다”를 통해 모든 것을 임금의 은혜로 돌리는 충의 사상을 담고 있다.
7. 상징과 의미
강호
은둔자의 자연 속 생활과 안빈낙도의 삶을 상징한다.
탁료계변과 금린어
풍류와 소박한 즐거움을 상징한다.
소정(작은 배)
유유자적한 화자의 한가로운 삶을 표현한다.
삿갓과 누역
소박한 자연 속 생활과 겨울 추위를 극복하는 안분지족의 태도를 상징한다.
8. 감상 포인트
사계절의 변화와 자연 속의 삶
각 계절의 정취를 풍류적으로 묘사하며 자연과의 조화를 즐기는 화자의 태도에 주목한다.
유교적 충의 사상
강호에서의 삶을 임금의 은혜로 귀결시키는 반복적 표현을 통해 화자의 충성심을 이해한다.
형식적 통일성
초장, 중장, 종장의 구조적 반복과 후렴구를 통해 나타나는 운율적 안정감을 감상한다.
9. 시험 대비 포인트
작품의 핵심
갈래: 연시조
주제: 강호의 사계절 속에서 안빈낙도하며 임금의 은혜에 감사함
특징: 반복법, 대유법, 대구법, 의인법
강호가도의 의미
자연을 찬미하면서도 유교적 충의 이념을 결합한 작품으로, 조선 전기의 사대부 문학을 대표한다.
비교 작품
면앙정가(송순): 자연 속의 은둔적 삶을 노래하며 임금에 대한 충성을 드러낸다.
어부사(이현보): 자연과 물아일체를 추구하지만 현실 세계에 대한 미련을 완전히 버리지 못한다.
만능키 강호사시가
‘강호사시가’는 강호의 사계절을 배경으로 자연 속에서 안분지족하며 풍류를 즐기는 삶을 노래한 작품이다. 이를 통해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인간의 모습을 표현하면서도, 그 모든 것을 임금의 은혜로 돌리는 유교적 충의 사상을 보여준다. 조선 사대부들의 이상적 삶과 태평성대의 정치적 안정이 드러난 이 작품은 강호가도의 선구적 작품으로서 국문학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다들 화이팅!
다음에는
<논밭 갈아 기음 매고> 로 돌아올게요~!
중등부 1008분 16만원 중등부 1134분 21만원 고등국어 1680분 36만원, 1134분 23만원 고등국어 2268분 46만원 고등국어 3402분 69만원, 2520분 54만원
#국어의키 #성동구국어 #성동국어 #행당국어 #성동구논술 #성동논술 #행당논술
#국어내신 #국어1등급 #고등내신 #고등국어내신 #성동고 #성동고국어 #성동고내신 #성동고기출 #성동고수시 #성동고정시 #고등국어 #기출분석 #국어학평 #국어모고 #입시국어
'새로운 교과서 고등 국어 작품 > 고전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산별곡, 무학여고 국어 내신, 경희고 국어내신] (0) | 2024.12.18 |
---|---|
[논밭 갈아 기음 매고, 장충고 국어 내신, 장충 국어] (0) | 2024.12.18 |
[서경별곡, 성수고 국어 내신, 성수고 중간 국어] (0) | 2024.12.18 |
[두터비 파리를 물고, 성수고 내신, 중간 국어 성수고] (0) | 2024.12.18 |
[십 년을 경영하여, 성동 국어 내신, 성동고 기말 국어] (0) | 2024.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