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최상위권을 향해 달려가는 학생들이

다니는 국어의 키입니다!

오늘 가져온 고전시가는

<강호맹사성>입니다!

7. 「강호사시가」 맹사성

 

한 문장 「강호사시가」 : 강호의 사계절을 배경으로 자연과의 조화를 즐기며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는 삶을 노래한 작품으로, 유교적 충의 사상을 반영

 

 

① 자연과의 조화

자연 속에서의 삶을 통해 화자가 느끼는 기쁨과 여유, 그리고 임금에 대한 감사의 정서를 표현.

 

② 계절별 감정 변화

1연: 봄의 생동감과 흥취,

2연: 여름의 한가로움과 여유,

3연: 가을의 풍요로움과 고기잡이의 즐거움,

4연: 겨울의 차가운 날씨 속에서도 자연의 아름다움 감상.

 

③ 유교적 가치관

임금의 은혜에 대한 감사와 충성을 강조하며, ‘역군은이샷다’라는 구절로 마무리

 

 

 
 
 
 
 
 
 
 
 
Previous imageNext image
 

「강호사시가」 모듈화

 

① 주제

자연 속에서의 즐거움과 임금의 은혜에 대한 감사함을 표현.

 

② 특징

대유법, 대구법, 의인법 등의 수사적 기법을 통해 감정과 상황을 생생하게 전달. 각 연의 형식적 통일성으로 안정감과 리듬감을 제공.

 

③ 의의

자연과의 조화를 통해 유교적 가치관

 

춘사(春詞): 봄의 흥취

하사(夏詞): 여름의 한가로운 초당 생활

추사(秋詞): 가을의 풍요로움, 고기잡이 즐거움

동사(冬詞): 겨울의 설경 속에서 안분지족

 

⑤ 형식적 통일성

각 연의 초장에서는 계절의 변화와 그에 따른 흥취를, 중장에서는 화자의 구체적인 생활 모습을, 종장에서는 계절마다 느끼는 감정과 삶의 모습을 나타냄

그럼 바로 자료 보러 가실까요?

 

7.pdf
1.57MB

모바일 버전으로 준비해놨으니까

편리하게 들고다니면서 많이! 자주! 보세요~!

7. 강호사시가 맹사성 2.hwp
0.02MB

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맹사성)

〈춘사(春詞)〉

강호(江湖)에 봄이 드니 미친 흥(興)이 절로 난다

탁료계변(濁醪溪邊)에 금린어(錦鱗魚) 안주로다

이 몸이 한가하옴도 역군은(亦君恩)이샷다

 

 

〈하사(夏詞)〉

강호(江湖)에 여름이 드니 초당(草堂)에 일이 없다

유신(有信)한 강파(江波)는 보내느니 바람이로다

이 몸이 서늘하옴도 역군은(亦君恩)이샷다

 

1. 한 문장 강호사시가

‘강호사시가’는 강호의 사계절을 즐기며 안빈낙도의 삶을 추구하고, 이를 임금의 은혜로 귀결시키는 조선 전기의 강호가도 작품이다.

 

 

2. 주요 핵심 내용 (3가지)

강호의 사계절과 자연 속의 한가로운 생활

화자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변화에 따라 자연 속에서 유유자적하며 풍류를 즐긴다.

이는 강호에서 안분지족(安分知足)하는 삶을 추구하는 은사(隱士)의 태도를 드러낸다.

 

유교적 충의 사상

각 연의 종장에 등장하는 “역군은이샷다”를 통해 자연 속의 여유로운 삶이 임금의 은혜 덕분임을 강조한다.

이는 강호가도의 근본 정신인 충의(忠義) 사상과 태평성대에 대한 찬양을 반영한다.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삶

화자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풍요로움을 노래하며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삶을 그린다.

이는 조선 사대부들의 이상적 생활을 표현한 것이다.

 

 

3. 글 구성

(1) 내용 흐름과 시상 전개

춘사(春詞)

초장: “강호에 봄이 드니 미친 흥이 절로 난다”

봄의 도래에 흥이 솟구치며 자연의 생기를 느낀다.

중장: “탁료계변에 금린어 안주로다”

탁주와 싱싱한 물고기를 안주로 삼아 자연을 즐긴다.

종장: “이 몸이 한가하옴도 역군은이샷다”

이러한 삶도 모두 임금의 은혜 덕분임을 강조한다.

 

하사(夏詞)

초장: “강호에 여름이 드니 초당에 일이 없다”

더운 여름, 초당에서 바람을 맞으며 여유로운 시간을 보낸다.

중장: “유신한 강파는 보내느니 바람이로다”

신뢰할 수 있는 강물결과 시원한 바람이 찾아온다.

종장: “이 몸이 서늘하옴도 역군은이샷다”

더위를 잊고 서늘한 기운을 느끼는 것도 임금의 은혜이다.

 

 

추사(秋詞)

초장: “강호에 가을이 드니 고기마다 살져 있다”

가을의 풍요로움을 노래하며 자연의 넉넉함을 즐긴다.

중장: “소정에 그물 실어 흘리 띄워 던져 두고”

작은 배에 그물을 싣고 물결 따라 던져놓으며 한가롭게 지낸다.

종장: “이 몸이 소일하옴도 역군은이샷다”

이러한 소일(消日)도 모두 임금의 은혜 덕분이다.

 

동사(冬詞)

초장: “강호에 겨울이 드니 눈 깊이 자히 남다”

눈이 깊이 쌓여 겨울의 정취가 가득하다.

중장: “삿갓 비껴 쓰고 누역으로 옷을 삼아”

소박한 삿갓과 도롱이로 추위를 막으며 자연 속에서 생활한다.

종장: “이 몸이 춥지 아니하옴도 역군은이샷다”

추위를 모르고 지내는 것도 임금의 은혜 덕분임을 강조한다.

 

 

(2) 형식과 운율

형식: 연시조(4수, 각 수가 초장·중장·종장으로 구성)

운율: 3음보의 정형적 율격을 유지하면서 자연스러운 흐름을 보여줌.

 

 

4. 표현 기법

반복법

“역군은이샷다”를 각 연의 종장에서 반복하여 임금의 은혜를 강조한다.

 

대유법

자연물과 풍경을 통해 강호의 사계절을 간결하게 묘사한다.

 

의인법

“유신한 강파는 보내느니 바람이로다”와 같이 강물결에 인격을 부여하여 시원함을 표현한다.

 

대구법

각 연의 구성(계절 → 생활 모습 → 임금의 은혜)이 반복되어 통일감과 안정감을 준다.

 

 

5. 주제와 정서

(1) 주제

강호의 사계절 속에서 자연과 하나 되어 안빈낙도하며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는 삶.

 

(2) 정서

풍류적 즐거움: 자연 속에서 여유로운 삶을 즐기는 화자의 태도.

안분지족: 만족할 줄 아는 소박하고 한가로운 삶의 태도.

충의 정신: 자연의 삶 속에서도 임금의 은혜를 잊지 않는 화자의 충성심.

 

 

6. 특징과 의의

강호가도의 선구적 작품

자연을 찬미하면서 유교적 충의 사상을 결합한 강호가도의 대표적 작품이다.

 

최초의 연시조

사계절을 각 수마다 노래한 연시조 형식으로 시조 문학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조화로운 삶의 모습

자연 속에서 풍류를 즐기며 조화를 추구하는 사대부들의 이상적 삶이 드러난다.

 

유교적 가치관

자연을 즐기면서도 “역군은이샷다”를 통해 모든 것을 임금의 은혜로 돌리는 충의 사상을 담고 있다.

 

 

7. 상징과 의미

강호

은둔자의 자연 속 생활과 안빈낙도의 삶을 상징한다.

 

탁료계변과 금린어

풍류와 소박한 즐거움을 상징한다.

 

소정(작은 배)

유유자적한 화자의 한가로운 삶을 표현한다.

 

삿갓과 누역

소박한 자연 속 생활과 겨울 추위를 극복하는 안분지족의 태도를 상징한다.

 

 

8. 감상 포인트

사계절의 변화와 자연 속의 삶

각 계절의 정취를 풍류적으로 묘사하며 자연과의 조화를 즐기는 화자의 태도에 주목한다.

 

유교적 충의 사상

강호에서의 삶을 임금의 은혜로 귀결시키는 반복적 표현을 통해 화자의 충성심을 이해한다.

 

형식적 통일성

초장, 중장, 종장의 구조적 반복과 후렴구를 통해 나타나는 운율적 안정감을 감상한다.

 

 

9. 시험 대비 포인트

작품의 핵심

갈래: 연시조

주제: 강호의 사계절 속에서 안빈낙도하며 임금의 은혜에 감사함

특징: 반복법, 대유법, 대구법, 의인법

 

강호가도의 의미

자연을 찬미하면서도 유교적 충의 이념을 결합한 작품으로, 조선 전기의 사대부 문학을 대표한다.

 

비교 작품

면앙정가(송순): 자연 속의 은둔적 삶을 노래하며 임금에 대한 충성을 드러낸다.

어부사(이현보): 자연과 물아일체를 추구하지만 현실 세계에 대한 미련을 완전히 버리지 못한다.

 

 

 

만능키 강호사시가

‘강호사시가’는 강호의 사계절을 배경으로 자연 속에서 안분지족하며 풍류를 즐기는 삶을 노래한 작품이다. 이를 통해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인간의 모습을 표현하면서도, 그 모든 것을 임금의 은혜로 돌리는 유교적 충의 사상을 보여준다. 조선 사대부들의 이상적 삶과 태평성대의 정치적 안정이 드러난 이 작품은 강호가도의 선구적 작품으로서 국문학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다들 화이팅!

다음에는

<논밭 갈아 기음 매고> 로 돌아올게요~!


국어의키 국어논술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로8길 8-1 201호 리딩플러스 국어의 키

중등부 1008분 16만원 중등부 1134분 21만원 고등국어 1680분 36만원, 1134분 23만원 고등국어 2268분 46만원 고등국어 3402분 69만원, 2520분 54만원

#국어의키 #성동구국어 #성동국어 #행당국어 #성동구논술 #성동논술 #행당논술

#국어내신 #국어1등급 #고등내신 #고등국어내신 #성동고 #성동고국어 #성동고내신 #성동고기출 #성동고수시 #성동고정시 #고등국어 #기출분석 #국어학평 #국어모고 #입시국어

 

안녕하세요~

1등급을 목표로 공부하는

학생들이 다니는 국어의 키 입니다!

<서경별곡>

오늘 준비한 자료를 바로 <서경별곡>입니다!

내신에도, 모의고사에도 자주 나오는

서경별곡인만큼 꼭 알고 넘어가야겠죠? ㅎㅎ

그럼 보러 가볼까요~

6. 「서경별곡」

 

 

한 문장 「서경별곡」 : 임과의 이별에서 느끼는 슬픔과 정한을 화자가 직설적이고 강렬하게 표현하며, 고려 가요의 서정성과 애상적 정서를 대표하는 작품

 

 

 

① 이별의 정한과 애절함

이별을 거부하며 임에 대한 영원한 사랑과 믿음을 다짐하는 여성 화자의 열정적인 정서.

 

② 다층적 정서

1연: 임을 따르려는 애절함,

2연: 영원한 사랑과 믿음의 다짐,

3연: 임을 떠나보낸 후 사공을 향한 원망.

 

③ 고려 가요의 전형적 특징

3음보의 율격과 분연체 구성, 후렴구 반복을 통한 리듬감 형성.

구체적 비유와 상징적 표현을 통해 서정적 정서를 심화.

 

 

 
 
 
 
 
 
 
 
 
 
 
Previous imageNext image


 

 

「서경별곡」 모듈화

 

① 주제

임과의 이별에 따른 슬픔과 사랑, 원망 등 다양한 정서를 표현.

 

② 특징

설의법과 비유법을 통해 정서를 강조

여음구(아즐가)와 후렴구를 반복

 

 

③ 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고려 가요, 고려 가요의 형성과 전승 과정 유추

 

④ 대동강: 화자와 임을 단절시키는 공간.

구슬과 끈: 끊어질 수 없는 사랑과 믿음.

사공: 떠나는 임을 붙잡지 못하는 화자의 좌절을 전가하는 대상.

 

⑤ 3음보의 율격, 분연체 구성, 후렴구 사용, 순우리말을 통한 생생한 정감

 

 

서경별곡은 임과의 이별에서 느끼는 슬픔과 정한을 화자가 직설적이고 강렬하게 표현하며, 고려 가요의 서정성과 애상적 정서를 대표하는 작품입니다

이별의 정한과 애절함,다층적 정서,고려 가요의 전형적 특징에 대해서 알아두면 좋을 거 같아요~

6.pdf
1.30MB

선생님들이 정리해둔 부분은 놓치지말고 꼼꼼하게 알고 넘어갑시다~

6. 서경별곡 2.hwp
0.02MB

 

서경별곡(西京別曲)(작자 미상)

 

西京(서경)이 아즐가 西京이 셔울히 마르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닷곤 ᄃᆡ 아즐가 닷곤 ᄃᆡ 쇼셩경 고ᄋᆈ마른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여ᄒᆡ므론 아즐가 여ᄒᆡ므론 질삼 뵈 ᄇᆞ리시고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괴시란ᄃᆡ 아즐가 괴시란ᄃᆡ 우러곰 좃니노이다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구스리 아즐가 구스리 바회예 디신ᄃᆞᆯ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긴히ᄯᆞᆫ 아즐가 긴힛ᄯᆞᆫ 그치리잇가 나ᄂᆞᆫ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즈믄 ᄒᆡ를 아즐가 즈믄 ᄒᆡ를 외오곰 녀신ᄃᆞᆯ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信(신)잇ᄃᆞᆫ 아즐가 信잇ᄃᆞᆫ 그츠리잇가 나ᄂᆞᆫ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大同江(대동강) 아즐가 大同江 너븐디 몰라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ᄇᆡ 내여 아즐가 ᄇᆡ 내여 노ᄒᆞᆫ다 샤공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네 가시 아즐가 네 가시 럼난디 몰라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녈 ᄇᆡ예 아즐가 녈 ᄇᆡ예 연즌다 샤공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大同江(대동강) 아즐가 大同江 거넌편 고즐여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ᄇᆡ 타들면 아즐가 ᄇᆡ 타들면 것고리이다[17] 나ᄂᆞᆫ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1. 한 문장 서경별곡

‘서경별곡’은 이별의 정한과 임에 대한 변치 않는 사랑을 노래하며, 떠나는 임을 원망하면서도 사랑을 다짐하는 여성 화자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한 고려 가요이다.

 

 

2. 주요 핵심 내용 (3가지)

임에 대한 애절한 사랑과 적극적인 태도

화자는 임과의 이별을 극복하려 노력하며, 울면서라도 임을 따르겠다고 적극적으로 사랑을 표현한다.

이는 고려 가요 특유의 현실적이고 직설적인 사랑 표현을 보여준다.

 

변치 않는 사랑의 다짐

구슬과 끈, 천 년이라는 시어를 통해 임에 대한 화자의 사랑과 믿음이 끊어지지 않음을 강조한다.

화자는 오랜 세월이 흘러도 임을 향한 변치 않는 마음을 고백한다.

 

떠나는 임과 원망의 대상

화자는 이별의 고통을 애꿎은 뱃사공에게 쏟으며, 임을 떠나보내는 상황에 대한 절망과 분노를 드러낸다.

대동강과 배는 이별과 단절을 상징하며, 이별의 정한을 강조한다.

 

 

3. 글 구성

(1) 내용 흐름과 시상 전개

1연

"여희므론 아즐가 질삼 뵈 바리시고"

화자는 임이 떠난다는 상황에서 울며 임을 따르겠다고 적극적으로 표현한다.

이별을 거부하고 사랑을 쟁취하려는 화자의 강렬한 태도가 드러난다.

 

2연

"구슬이 바회예 디신들 긴히딴 그츠리잇가 나는"

구슬과 끈의 이미지로 사랑과 믿음이 끊어지지 않음을 강조하며 영원한 사랑을 맹세한다.

천 년 동안 외로워도 임을 향한 마음은 변하지 않을 것임을 다짐한다.

 

3연

"대동강 너븐디 몰라셔 배 내여 노한다 샤공아"

화자는 이별의 상황을 사공에게 원망하며, 떠나는 배와 대동강을 이별과 단절의 상징으로 제시한다.

원망과 슬픔이 섞인 감정을 드러내면서도 사랑의 애절함을 지속적으로 표현한다.

 

 

(2) 형식과 운율

형식: 고려 가요, 3연 구성.

운율: 3음보의 율격을 기반으로 하고, 후렴구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를 반복하여 정서를 강조한다.

 

 

4. 표현 기법

반복법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와 같은 후렴구를 통해 리듬감을 형성하고 정서를 심화시킨다.

 

설의법

"긴히딴 그츠리잇가 나는"과 같이 질문의 형식을 사용하여 임에 대한 변치 않는 사랑을 강조한다.

 

대조적 이미지

구슬과 끈(끊어지지 않는 사랑) vs. 대동강과 배(이별과 단절)의 대비를 통해 화자의 심리를 극대화한다.

 

상징법

대동강: 이별의 공간이자 단절의 상징.

배: 떠나는 임을 태우는 매개체로서, 화자의 원망과 슬픔을 표현한다.

구슬과 끈: 화자의 사랑과 믿음이 끊어지지 않음을 상징한다.

 

 

5. 주제와 정서

(1) 주제

임과의 이별에 대한 애절한 정한과 변치 않는 사랑의 다짐.

 

(2) 정서

애절함: 떠나는 임을 향한 슬픔과 그리움이 가득하다.

강렬함: 사랑을 지키려는 화자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태도가 드러난다.

원망과 비애: 이별 상황에서 화자는 애꿎은 사공에게 분노를 쏟으며 감정을 표출한다.

 

 

6. 특징과 의의

고려 가요의 문학적 특성

후렴구를 통해 운율감을 형성하고 정서를 강조하는 전통적 특징을 보여준다.

남녀 간의 사랑과 이별의 정한을 현실적으로 노래한다.

 

 

화자의 적극적 태도

화자는 임을 떠나보내는 것에 순응하지 않고 사랑을 쟁취하려는 모습을 보이며, 고려 가요의 화자가 능동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징적 시어 사용

대동강, 배, 구슬과 끈 등의 상징적 시어를 통해 이별의 아픔과 사랑의 변치 않음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문학사적 의의

고려 가요 중에서도 이별과 사랑을 직설적이고 적극적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우리 문학의 서정성을 잘 보여준다.

김소월의 ‘진달래꽃’ 등 후대의 시와 함께 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계보를 이룬다.

 

 

7. 상징과 의미

대동강

이별의 장소이자 화자와 임을 단절시키는 공간을 상징한다.

배떠나는 임을 태우는 수단으로, 임과의 단절을 의미한다.

 

구슬과 끈

사랑과 믿음이 끊어지지 않는다는 화자의 다짐을 상징한다.

 

사공

직접 임을 원망할 수 없는 화자의 감정이 투영된 대상이다.

 

 

8. 감상 포인트

화자의 적극적인 태도

임을 따르겠다는 의지와 영원한 사랑을 다짐하는 화자의 모습에 주목한다.

 

이별의 공간적 상징성

대동강과 배를 통해 이별의 정서를 심화시킨 점을 이해한다.

 

후렴구의 반복과 운율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를 반복함으로써 형성되는 운율감을 감상한다.

 

상징적 시어의 의미

구슬과 끈, 대동강 등의 상징이 화자의 사랑과 정서를 어떻게 전달하는지 살펴본다.

 

 

 

9. 시험 대비 포인트

작품의 핵심

갈래: 고려 가요

주제: 임과의 이별의 정한과 변치 않는 사랑

특징: 설의법, 상징법, 반복법, 후렴구 사용

 

고려 가요의 형식적 특징

3음보 율격과 후렴구의 반복을 통해 정서를 강조한다.

 

화자의 태도

이별을 거부하고 사랑을 적극적으로 쟁취하려는 태도를 보여준다.

 

비교 작품

가시리: 이별의 상황에서 화자가 소극적이고 체념적인 태도를 보이는 반면, 서경별곡은 적극적이다.

진달래꽃: 임을 떠나보내지만 사랑을 체념적으로 표현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만능키 서경별곡

‘서경별곡’은 고려 가요 특유의 후렴구와 상징적 시어를 통해 이별의 아픔과 변치 않는 사랑을 노래한 작품이다. 화자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태도는 고려 가요의 서정성과 함께 인간적 정서를 진솔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는 이별의 아픔을 노래한 문학사적 계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고려 시대의 정서를 잘 반영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다들 처음 공부시작하고자 다잡은 마음 그대로

그 열정 잃지말고 항상 화이팅이에요~~

다음에는 <강호사시가>-맹사성으로 돌아오겠습니다!


국어의키 국어논술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로8길 8-1 201호 리딩플러스 국어의 키

중등부 1008분 16만원 중등부 1134분 21만원 고등국어 1680분 36만원, 1134분 23만원 고등국어 2268분 46만원 고등국어 3402분 69만원, 2520분 54만원

#국어의키 #성동구국어 #성동국어 #행당국어 #성동구논술 #성동논술 #행당논술

#국어내신 #국어1등급 #고등내신 #고등국어내신 #성동고 #성동고국어 #성동고내신 #성동고기출 #성동고수시 #성동고정시 #고등국어 #기출분석 #국어학평 #국어모고 #입시국어

열공 중인 우리 학생들!

안녕하세요~ 국어의 키 입니다!

<두터비 파리를 물고>

새로 바뀐 교과서 때문에 고생이 많죠

ㅠㅠ

그런 우리 학생들을 위해서 국어의 키에서 자료를

준비해왔습니다!

오늘 가져온 자료는

<두터비 파리를 물고>입니다!

그럼 보러 가볼까요~!

4. 「두터비 파리를 물고」

 

 

한 문장 「두터비 파리를 물고」 : 탐관오리와 양반의 허장성세를 두꺼비와 파리, 백송골에 빗대어 해학적으로 풍자한 사설시조

 

 

 

① 탐관오리의 횡포 비판

두꺼비(탐관오리)가 파리(서민)를 착취하다가, 백송골(외세나 상층 권력) 앞에서 비굴해지는 모습을 풍자.

 

② 해학적 표현

우스꽝스러운 두꺼비의 행동을 통해 권력자들의 허세와 겁약함을 희화화.

 

③ 약육강식의 세태 풍자

약한 자에게 강하고 강한 자에게 약한 당시 권력 구조를 의인법과 상징법으로 비판.

 

 
 
 
 
 
 
 
Previous imageNext image
 

 

 

「두터비 파리를 물고」 모듈화

 

① 주제

강자 앞에서 비굴하고 약자에게 강한 권력자들의 허장성세 풍자. 서민들이 느꼈던 사회적 고통과 저항 의식

 

② 특징

동물을 의인화해 사회를 비판하는 우의적 기법.

평시조에서 확장된 중장으로 형식적 파격을 이루며, 사설시조 특유의 서민적 언어를 활용.

해학과 풍자를 통해 사회적 부조리를 신랄하게 고발.

 

③ 의의

사설시조로서 서민들의 진솔한 삶과 문제의식을 담아낸 작품.

웃음 속에 교훈을 담아 시대의 부조리를 비판하는 골계미를 보여줌.

 

대조법: 두꺼비와 백송골의 대비

의인법: 두꺼비와 백송골을 인격화해 인간 사회를 풍자.

상징법: 두꺼비(탐관오리), 파리(백성), 백송골(외세나 상층부 권력)

 

⑤ 서민적 어휘와 풍자적 표현, 권력자들의 허세와 횡포를 풍자

 

두터비 파리를 물고는

탐관오리와 양반의 허장성세를 두꺼비와 파리, 백송골에 빗대어 해학적으로 풍자한 사설시조입니다!

탐관오리의 횡포 비판,해학적 표현,약육강식의 세태 풍자

3가지 포인트

5. 두터비 파리를 물고.hwp
0.03MB

두터비 파리를 물고

두터비 ᄑᆞ리를 물고 두험 우희 치ᄃᆞ라 안자

건넛山 ᄇᆞ라보니 白松鶻이 ᄯᅥ잇거ᄂᆞᆯ

가슴이 금즉ᄒᆞ여 풀덕 ᄯᅱ여 내ᄃᆞᆺ다가 두험 아래 쟛바지거고

모쳐라 ᄂᆞᆯ랜 낼싀만졍 에헐질 번ᄒᆞ괘라

 

 

두꺼비 파리를 물고 두엄 위에 치달아 앉아

건넛산 바라보니 흰 송골매가 떠있거늘

가슴이 깜짝 놀라서 풀떡 뛰어 내닫다가 언덕 아래 자빠졌구나

마침 재빠른 나이기에 망정이지 (아니었음) 피멍이 들 뻔했구나

 

1. 한 문장 두터비 파리를 물고

‘두터비 파리를 물고’는 약자에게 강하고 강자에게 약한 권력층의 비굴함과 허장성세를 두꺼비의 행동을 통해 해학적으로 풍자한 사설시조이다.

 

 

2. 주요 핵심 내용 (3가지)

약육강식의 세태 비판

두꺼비가 파리(약자)를 물고 득의양양해하지만 백송골(강자)에게 겁을 먹고 허둥대는 모습은 강자에게 비굴한 권력층을 풍자한다.

이는 당시 양반이나 탐관오리들이 서민을 괴롭히면서도 상부 권력이나 외세에는 순응하는 현실을 꼬집는다.

 

희화화된 상황과 해학

두꺼비가 두엄 위에 올라가 위세를 부리다 송골매를 보고 놀라 자빠지는 모습은 익살스럽게 그려졌다.

이런 풍자적 상황을 통해 권력자의 위선과 허세를 조롱하면서도 웃음을 유발한다.

 

서민적 시어와 현실 비판

‘금즉하여’, ‘풀덕 뛰여’, ‘쟛바지거고’와 같은 일상적 언어를 사용하여 서민들의 생생한 감정을 표현한다.

이는 권력의 부조리함을 비판하면서도 서민적 정서를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3. 글 구성

(1) 내용 흐름과 시상 전개

초장:

"두터비 파리를 물고 두험 우희 치다라 안자"

두꺼비가 파리를 물고 두엄 위로 올라가 득의양양해하는 모습을 묘사한다.

약자를 잡고 우쭐대는 비굴한 권력자의 모습을 암시한다.

 

중장:

"건넌 산 바라보니 백송골이 떠 잇거늘"

두꺼비가 건너편 산의 송골매를 보고 가슴이 철렁 내려앉아 두엄 아래로 허둥대며 뛰어내리는 장면이 그려진다.

이는 강자 앞에서 비굴해지는 권력자의 허세를 비유한 것이다.

 

종장:

"모쳐라 날랜 낼시만졍 에헐질 번하괘라"

두꺼비는 자신의 재빠른 몸놀림 덕분에 다치지 않았다고 변명하며 허세를 부린다.

이는 자신의 비굴함을 숨기려는 위선적 태도를 희화화한 것이다.

 

 

(2) 형식과 운율

형식: 사설시조 (초장, 중장, 종장으로 이루어지되 중장이 길어진 특징을 보임).

운율: 자유로운 리듬과 서민적 언어를 사용하여 해학적 분위기를 조성한다.

 

 

4. 표현 기법

의인법

두꺼비, 파리, 송골매를 의인화하여 인간 사회의 권력 관계를 풍자한다.

 

상징법

두꺼비: 약자에게만 강한 탐관오리나 중간 권력층.

 

파리: 억압받는 서민.

백송골: 더 강한 권력층이나 외세를 상징한다.

 

대조법

두꺼비의 의기양양한 모습과 송골매 앞에서 허둥대는 모습이 대조되며 비굴함이 강조된다.

희화화와 해학

두꺼비의 행동을 익살스럽게 묘사하여 웃음을 유발하면서도 비판적 메시지를 전달한다.

 

 

5. 주제와 정서

(1) 주제

약자에게 강하고 강자에게 비굴한 권력층의 허장성세를 풍자하고 비판함.

 

(2) 정서

풍자적: 권력자의 비굴함을 신랄하게 비꼬고 있다.

해학적: 익살스럽고 희화화된 상황을 통해 웃음을 유발한다.

비판적: 부조리한 사회 현실에 대한 서민적 저항 의식을 드러낸다.

 

 

6. 특징과 의의

사설시조의 형식적 특징

평시조와 달리 중장이 길어지며 내용이 확장되었고, 서민들의 생생한 감정을 드러내는 문학 형식이다.

 

해학과 풍자의 조화

사회적 부조리를 비판하면서도 웃음을 통해 감정적 긴장을 완화시키는 골계미(滑稽美)가 돋보인다.

 

현실 비판과 서민의식

당시 양반 계층의 위선적 태도를 비판하면서 약육강식의 세태를 우화적 방법으로 표현했다.

 

문학사적 의의

사설시조는 조선 후기 서민 의식의 성장과 함께 등장했으며, 형식과 내용에서 문학적 자유로움을 보여준다.

 

 

7. 상징과 의미

두꺼비

탐관오리나 양반과 같은 중간 권력층으로, 약자에게만 강한 비굴한 모습을 상징한다.

 

파리

힘없는 서민을 상징하며, 억압받는 계층의 처지를 대변한다.

 

백송골

더 강한 권력자나 외세로, 두꺼비의 비굴함을 부각시키는 존재이다.

 

두엄

두꺼비가 올라가 우쭐대는 공간으로, 권력자가 힘없는 백성 위에 군림하는 모습을 상징한다.

 

 

8. 감상 포인트

풍자와 해학의 의미

두꺼비의 우스꽝스러운 행동을 통해 강자에게 약하고 약자에게 강한 권력층의 위선을 비판한다.

 

사회 비판의 우의적 표현

동물을 의인화하여 당시 양반 계층과 서민의 관계, 그리고 권력의 부조리를 우회적으로 드러낸다.

 

사설시조의 형식적 자유로움

중장이 길어지고 서민적 언어가 사용되면서 생동감과 해학적 정서가 강조된다.

 

상징적 시어의 이해

두꺼비, 파리, 백송골의 의미를 파악하여 작품의 주제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9. 시험 대비 포인트

작품의 핵심

갈래: 사설시조

주제: 권력층의 허장성세와 강자에게 약한 비굴한 태도 비판

특징: 의인법, 상징법, 대조법, 희화화

 

상징적 표현의 이해

두꺼비, 파리, 백송골의 상징적 의미를 정확히 파악할 것.

 

사설시조의 특성

형식: 중장이 길어지고 서민적 언어와 표현이 강조됨.

내용: 서민 의식을 바탕으로 한 현실 비판과 해학적 표현.

 

 

비교 작품

양반전: 양반 계층의 위선을 풍자하며 해학적으로 비판한 점이 유사하다.

허생전: 강자와 약자의 관계를 풍자적으로 묘사한 점에서 비교 가능하다.

 

 

 

만능키 두터비 파리를 물고

‘두터비 파리를 물고’는 두꺼비를 의인화하여 강자에게 비굴하고 약자에게 군림하는 권력자의 허장성세를 해학적으로 풍자한 사설시조이다. 서민적 언어와 희화화된 상황을 통해 웃음을 유발하면서도 사회적 부조리를 신랄하게 비판하며, 조선 후기 사설시조의 문학적 특성과 서민 의식을 잘 드러낸다.

공부하다가 더 들어갔으면 좋겠는 내용

혹은 없어도 되는 내용이 있으면 편하게 알려주세요~

국어의 키에서는 항상 학생의 의견을 존중합니다!

우리 학생들 화이팅이에요~~

다음에는 <서경별곡>으로 찾아올게용


국어의키 국어논술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로8길 8-1 201호 리딩플러스 국어의 키

중등부 1008분 16만원 중등부 1134분 21만원 고등국어 1680분 36만원, 1134분 23만원 고등국어 2268분 46만원 고등국어 3402분 69만원, 2520분 54만원

#국어의키 #성동구국어 #성동국어 #행당국어 #성동구논술 #성동논술 #행당논술

#국어내신 #국어1등급 #고등내신 #고등국어내신 #성동고 #성동고국어 #성동고내신 #성동고기출 #성동고수시 #성동고정시 #고등국어 #기출분석 #국어학평 #국어모고 #입시국어

안녕하세요~

1등급을 향해 달려가는 학생들이 다니는

국어의 키 입니다!

예비 고1이 아닌 다양한 학생들도 자료를

찾느라 바쁘더라구요 ㅠㅠ

혼자서도 열심히하는 우리 학생들을 위하여 국어의 키에서는 항상 다양한 자료를 준비중입니다!

<십년을 경영하여>-송순

오늘 <십년을 경영하여>-송순

작품의 자료를 갖고 왔습니다!

그럼 보러 가볼까요~~

4. 「십 년을 경영하여」 송순

 

 

한 문장 「십 년을 경영하여」 : 자연과 더불어 유유자적한 삶을 통해 안빈낙도의 정신과 물아일체의 경지를 노래한 조선 사대부의 전원적 시조

 

 

 

 

① 자연과의 동화

초가 삼간을 짓고 달, 청풍, 화자가 함께 어우러져 자연 속에서 하나가 되는 물아일체의 삶을 형상화.

 

② 안빈낙도의 정신

세속적 욕망을 버리고 자연과 벗하며 살아가는 안분지족과 강호가도(江湖歌道)의 정취.

 

③ 풍류적 미학

달과 바람을 의인화하고 강산을 병풍처럼 둘러보는 자연 친화적이고 낭만적인 발상.

시험 대비 내용

 

 

 
 
 
Previous imageNext image
 

 

 

「십 년을 경영하여」 모듈화

 

① 주제 : 자연 속에서 청빈하게 살아가는 삶의 즐거움과 자연에 대한 사랑.

 

② 특징 : 의인법을 활용하여 자연을 벗 삼아 물아일체의 경지를 표현.

3.4조와 4.4조의 율격으로 서정성과 음악적 운율 강화.

 

③ 핵심 : 강호가도의 세계관을 통해 자연 속에서 유유자적한 삶을 노래한 전원적 시조.

 

④ 의인법과 물아일체적 상상력으로 자연과 인간의 경계를 허물고 자연과의 친화성을 강조.

 

⑤ 자연을 사랑하고 청빈한 삶을 추구,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노래.

 

십년을 경영하여는 자연과 더불어 유유자적한 삶을 통해 안빈낙도의 정신과 물아일체의 경지를 노래한 조선 사대부의 전원적 시조 입니다!

 

자연과의 동화, 안빈낙도의 정신, 풍류적 미학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더 많은 내용은 자료 안에 준비되어있답니다~

4.pdf
1.51MB

모듈화 부분도 놓치지말고

꼭!! 챙겨갑시다~

십 년을 경영하여(송순)

 

 

십 년(十年)을 경영(經營)하여 초려 삼간(草廬 三間) 지내여니

나 한 간(間) 달 한 간에 청풍(淸風) 한 간(間) 맛져 두고

강산(江山)은 들일 듸 업스니 둘러 두고 보리라

 

1. 한 문장 십 년을 경영하여

‘십 년을 경영하여’는 자연 속에서 청빈하고 유유자적한 삶을 노래하며 자연과 인간이 하나 되는 물아일체의 경지를 표현한 송순의 평시조이다.

 

 

2. 주요 핵심 내용 (3가지)

안빈낙도와 자연 친화적 삶

화자는 10년의 세월을 들여 초가 삼간을 마련하고 자연 속에서 청빈하게 살아가는 삶을 추구한다.

이는 물질적 풍요보다는 정신적 만족을 추구하는 안빈낙도의 삶을 의미한다.

 

자연과의 일체감

화자는 ‘나’, ‘달’, ‘청풍’이 각각 초가 삼간의 한 칸씩을 차지한다고 표현하며, 자연과 인간이 경계를 넘어 하나가 되는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지를 드러낸다.

 

강호가도와 풍류 정신

‘강산은 들일 곳이 없으니 둘러 두고 보리라’는 표현은 자연 전체를 감상하며 즐기는 화자의 낭만적 태도와 풍류적 정신을 나타낸다.

이는 사대부들의 자연 속 은거와 강호가도의 삶을 대표적으로 보여준다.

 

 

3. 글 구성

(1) 내용 흐름과 시상 전개

 

초장:

"십 년을 경영하여 초려 삼간 지어내니"

화자는 오랜 시간 동안 노력하여 초가 삼간을 마련하며 청빈한 삶을 준비한다.

 

중장:

"나 한 간 달 한 간에 청풍 한 간 맛져두고"

화자는 자신의 초가 삼간을 자연물인 ‘달’과 ‘맑은 바람(청풍)’과 나누어 쓰며 자연과의 조화를 이룬다.

 

 

종장:

"강산은 드릴 듸 업스니 둘러 두고 보리라"

화자는 자연 전체를 초가집 주변에 병풍처럼 두르고 감상하며 풍류를 즐긴다.

 

 

(2) 형식과 운율

형식: 평시조, 3장 6구의 정형 구조.

운율: 3음보와 4음보가 조화를 이루며 정갈하고 단정한 리듬감을 형성한다.

 

 

4. 표현 기법

의인법

‘달’, ‘청풍’을 각각 초가 삼간의 한 칸으로 의인화하여 자연물과 인간이 공존하는 모습을 그려낸다.

 

과장법

"강산은 드릴 듸 없으니 둘러 두고 보리라"에서 강산을 병풍처럼 두른다는 표현은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을 강조하는 동시에 화자의 여유로운 태도를 드러낸다.

 

물아일체

자연과 인간이 경계를 넘어 하나가 되는 경지를 표현하며 초가 삼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룬다.

함축적 표현

"초려 삼간"은 단순한 집이 아니라 화자가 추구하는 안빈낙도와 정신적 자유를 상징한다.

 

 

5. 주제와 정서

(1) 주제

자연 속에서 안빈낙도를 실천하며 물아일체의 삶을 즐기는 화자의 청빈한 정신과 풍류적 태도.

 

(2) 정서

청빈함: 물질적 가치를 초월하고 정신적 여유를 추구하는 태도.

자연 친화적: 자연과의 조화 속에서 살아가는 화자의 삶.

낭만적: 자연을 병풍처럼 두르고 풍류를 즐기며 느끼는 감정.

 

 

6. 특징과 의의

자연 친화적 정신

초가 삼간과 ‘달’, ‘청풍’의 일체화를 통해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는 사상적 배경을 드러낸다.

 

강호가도의 표현

조선 시대 사대부들이 현실 정치의 고단함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서 은거하며 심성을 수양하는 삶을 노래한 대표적 작품이다.

 

물아일체의 경지

화자는 자연과 하나 되어 풍류를 즐기며, 초탈하고 유유자적한 태도를 보여준다.

 

사대부의 정신 세계

자연 속 은거를 통해 자기 성찰과 정신적 자유를 추구하며, 이는 사대부들이 지향하던 이상적 삶의 모습을 나타낸다.

 

 

7. 상징과 의미

초려 삼간(草廬三間)

단순한 초가집이 아니라 청빈한 삶과 정신적 안정을 상징한다.

 

달과 청풍

자연의 요소인 ‘달’과 ‘맑은 바람’을 한 칸씩 나누어 쓰는 것은 자연과 인간의 일체감을 의미한다.

 

강산(江山)

‘둘러 두고 보리라’는 표현은 자연의 아름다움을 마음껏 감상하며 유유자적한 삶을 즐기겠다는 화자의 의지를 나타낸다.

 

 

8. 감상 포인트

안빈낙도의 정신

초가 삼간 속에서 청빈하지만 만족하는 화자의 삶의 태도.

 

물아일체의 표현

자연과 인간이 하나가 되는 이상적 경지를 ‘달’과 ‘청풍’을 통해 은유적으로 표현함.

 

강호가도와 풍류 정신

자연에 귀의하여 마음의 여유를 찾는 사대부들의 전통적인 강호가도의 경향을 잘 보여준다.

 

의인법과 과장법의 활용

자연물을 의인화하고 강산을 병풍처럼 둘러본다는 표현을 통해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즐거움을 강조한다.

 

 

 

9. 시험 대비 포인트

 

작품의 핵심

갈래: 평시조

주제: 자연 속 안빈낙도와 물아일체의 삶

특징: 의인법, 과장법, 3장 6구의 정형 구조

 

자연과 인간의 조화

‘초려 삼간’과 자연물을 나누어 쓰는 표현을 통해 자연과 일체화된 삶을 강조함.

 

강호가도의 특징

현실 정치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서 마음의 안정을 찾고 심성을 수양하는 사대부들의 이상적 삶을 표현함.

 

 

비교 작품

상춘곡: 자연 속에서 물아일체의 경지를 추구하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찬미함.

관동별곡: 자연 경관을 감상하며 유유자적한 삶을 노래한 작품과 비교할 수 있음.

 

 

십 년을 경영하여 만능키

‘십 년을 경영하여’는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며 청빈한 삶을 추구하는 화자의 정신을 노래한 시조로, 자연과 인간이 경계를 넘어 일체를 이루는 물아일체의 경지를 잘 보여준다. 이는 조선 시대 사대부들의 강호가도적 정신을 대표적으로 드러낸 작품으로, 풍류적이면서도 철학적 깊이를 동시에 지닌다.

항상 열심히 공부하는

우리 친구들을

언제나 응원해요!

화이팅!

그럼 다음에는

<두터비 파리를 물고> 작품으로 찾아올게요~


국어의키 국어논술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로8길 8-1 201호 리딩플러스 국어의 키

중등부 1008분 16만원 중등부 1134분 21만원 고등국어 1680분 36만원, 1134분 23만원 고등국어 2268분 46만원 고등국어 3402분 69만원, 2520분 54만원

#국어의키 #성동구국어 #성동국어 #행당국어 #성동구논술 #성동논술 #행당논술

#국어내신 #국어1등급 #고등내신 #고등국어내신 #성동고 #성동고국어 #성동고내신 #성동고기출 #성동고수시 #성동고정시 #고등국어 #기출분석 #국어학평 #국어모고 #입시국어

 

+ Recent posts